사진으로 글을 쓰다

사진마을 2016. 01. 05
조회수 8887 추천수 1

창작문예수필에 사진을 결합

"문장의 이미지화" 새로운 시도

 

 

 김남기씨가 당신이 쓴 ‘창작문예수필’ 한 편 <그녀>를 보내왔다. 이 글은 창작문예수필작가회작품집(2015) ‘무장한 도시’에 들어있다. 또한 <그녀>는 창작문예수필 제 12회 신인추천작으로 당선된 글이기도 하다. 사진마을에 이 수필을 소개하는 이유는 글 속에 사진이 한 장 들어있는데 이게 신통방통하기 때문이다. 심사평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_MG_2670c.jpg
 “<그녀>는 전혀 새로운 창작양식을 개척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사진수필’이라는 말은 오래전부터 사용하여왔다. 많은 사진작품이 일간지나 잡지면을 한 줄 문장과 함께 장식된 일도 있었다. 지금도 수필가들이 작품집을 엮을 때 사진을 곁들여 편집하는 일도 있다……. 이 작품에서 사진은 문장의 이미지화인 것이다... (이하 생략)”
 
 요약하면 이런 이야기다. ‘사진수필’, 그러니까 영어로 포토에세이라고 부르는 형식을 말하는 것 같은데 포토에세이는 문학작품이 아니라 사진작품이다. 사진수필에 들어있는 사진과 김남기씨의 <그녀>에 든 사진은 종류가 다르다고 한다. 수필집에 들어있는 삽화 같은 사진과도 다르다. 삽화가 없더라도 수필의 흐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남기씨의 <그녀>에 든 사진은 “문장의 다른 표현”이라고 한 것이다.
 
 진정 그렇다면 특이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마침 얼마 전에 필립 퍼키스의 새 사진집 ‘바다로 떠나는 상자 속에서’를 소개하면서 비슷한 해석을 한 적이 있다. 아무런 제목도 설명도 장소도 없는 퍼키스의 사진을 보면 떠오르는 무엇인가가 있는데 그게 책 중간 중간에 들어있는 글을 보면서 떠오르는 무엇인가와 이어진다. 사진을 보면 글이 떠오르고 글을 보면 사진(이미지)이 떠오른다. 퍼키스의 사진집에 있는 글은 사진을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가 문장화된 것이다.
 
 지나친 해석은 원작과 원작자의 작품감상에 방해가 된다. 각자 아래의 창작문예수필 <그녀>를 읽고 이 글에서 사진과 글은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 연구해보자. 김남기씨가 아주 흥미로운 사례를 제시했다. 적극 환영한다. 

 

 

                       그녀
                                                                김 남 기
 
   석가탑을 돌아 본 것은 초급장교시절이었다. 그리고 45년 후, 사진동호회 월례행사로 다시 경주를 찾아 대능원에 입장했다. 솔숲을 지나면서 이승에 없는 그녀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는 설렘이 일었다.


 
   거대한 능은 아직도 숨을 멈추지 않았다.
 그 시대에 행한 능역(陵役)이 엄청났을 거라는 짐작은 순간에 사라졌다. 3층 높이의 위엄보다는 기대어도 될 언덕으로, 지친 몸을 받아줄 넉넉한 품으로 다가왔다. 우람하지만 소박하고 아름답게 부드러운 곡선에서 풍만한 여인이 보였다. 그는 나서 죽고 죽어서 다시 태어났다. 부장(副葬)된 권력이나 영화의 상징은 아무것도 걸치지 않았다. 그런 것은 결국 부질없는 것이라며, 그냥 맨몸으로 봄볕을 쬐고 있었다. 긴긴 세월 끝에 다시 여인으로 태어나게 해주어서 기쁘다는 듯, 금세 새로 꾸며 분단장한 얼굴을 보여준다. 마음을 열었다는 미소를 지으며 손끝으로 은밀하게 관능을 건드린다. 그리고 촉촉한 입술이 어느새 코앞으로 다가와 거칠게 호흡한다.

 

y.jpg
 
 천년이 만든 간격은 허벅다리 안쪽에 있었다.
이곳은 일벌이 들락거리는 전용 길목이다. 거기서 더 깊숙한 곳에 신(神)의 창조물인 생명의 시원(始原)이 있다. 꽃샘이다. 그 위 불두덩 밑에서, 큰 가리개를 제치고 드러낸 돌기의 얼굴을 습한 손바람이 스치며 지나간다. 앙가슴 양옆에 봉곳이 오른 꼭지는 혀끝이냐, 검지냐를 놓고 선택을 고민하는 중이다. 일벌이 하는 꿀 뜸질은 시간이 지날수록 속도가 붙는다. 그러나 거칠고 강한 것은 싫다면서 밀어내고, 포근하고 달콤한 조화 속으로 파고들며 신음했다. 이것이 절정에 이를 때, 꽃봉오리는 몸부림쳐 하얗게 피어오르고, 꽃샘 바닥에 암반이 뒤집혀 터지면서 꿀물을 용출한다. 태풍이 남긴 ‘멀티올가’(multi orgasm)의 희열은 마른 바닥을 안개처럼 적시면서 허벅지의 하얀 공간으로 한참 동안 서서히 번져갔다.


 
   경주는 오랫동안 마음에 둔 연인이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취재

“즐기면서 일하고 돈도 벌어 좋아…움직일 수 있을 때 열심히 해야지”

  • 사진마을
  • | 2016.01.13

[내 나이가 어때서] 2015년 하반기에 미술관 도슨트를 했던 김은평씨가 8일 경기도 양주시 장흥 가나아트파크의 피카소어린이미술관을 찾아 도슨트...

사진책

발로 찍은 1980년대 한국인 자화상

  • 사진마을
  • | 2016.01.08

권태균 1주기 유고 사진집과 사진전 '노마드'   고 권태균(1955-2015) 사진가의 첫 사진집이 1주기를 맞아 유작 사진집으로 나왔다. 제목은 권...

전시회

500 포토그래퍼스 창립 1주년 사진전 [1]

  • 사진마을
  • | 2016.01.06

사진모임 ‘500 포토그래퍼스(PHOTOGRAPHERS)’의 창립 1주년 사진전 ‘더 비기닝 스토리(The Beginning Story)’가 1월 9일부터 15일까지 ...

전시회

네팔 100명 아이들의 꿈

  • 사진마을
  • | 2016.01.05

  글 쓰고 사진 찍는 프로젝트 아티스트 윤정의 인터뷰사진전 ‘네팔, 그 속으로’가 안산문화예술의 전당 화랑전시관에서 열리고 있다. ...

취재

사진으로 글을 쓰다 [5]

  • 사진마을
  • | 2016.01.05

창작문예수필에 사진을 결합 "문장의 이미지화" 새로운 시도  김남기씨가 당신이 쓴 ‘창작문예수필’ 한 편 <그녀>를 보내왔다. 이 글은 창작문...

취재

오다 가다-필리핀에서

  • 사진마을
  • | 2016.01.03

필리핀 잘 다녀왔습니다. 아이들의 사진교육이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고 자평합니다. 처음부터 의도했던 것은, "사진교육의 목적은 사진이 아니다"였...

취재

사진을 배워 남 주며 꿈을 얻었다

  • 사진마을
  • | 2015.12.29

광주청소년 수련원 방과후 아카데미 <마인> ‘포토 앤 드림’ 학생들 필리핀 빈민지역 가족사진 봉사…몸짓언어로 마음 터 모자람과 가난은 상대적...

뭘까요

12월 뭘까요, 11월 당첨자 발표

  • 사진마을
  • | 2015.12.25

11월치 ‘뭘까요?’의 정답은 엘리베이터 컨트롤러입니다. 엘리베이터 버튼 안쪽 면, 엘리베이터 모두 정답 처리했습니다. 추첨하여 다섯 분을 뽑았...

전시회

동물도 사람처럼, 사람도 동물처럼

  • 사진마을
  • | 2015.12.24

펜티 사말라티 한국 첫 전시 ‘여기 그리고 저 멀리’ “자연과의 연결고리 놓치면 살아 있는 뭔가 잃어 기다리다 보면 돌, 배, 구름, 새가 말을...

취재

할머니들 좋고, 아이들 좋고

  • 사진마을
  • | 2015.12.23

지난 1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상암경로문화센터(구 상암매봉경로당)에서 성탄절을 앞두고 경로문화센터를 찾은 ‘열린지역아동센터’ 학생들이 센터의...

취재

세월에 곰삭은 음악인생…저마다 한가락, 상상 이상

  • 사진마을
  • | 2015.12.23

[내 나이가 어때서] <2> 6인조 상상밴드 분홍색 공연복 상의를 곱게 입은 신사 6명이 크리스마스캐럴 ‘창밖을 보라’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트럼펫...

전시회

독자의 여정-책으로 만든 지구

  • 사진마을
  • | 2015.12.17

미디어작가 나준기 개인전 시각화의 또 다른 방법에 대해   나준기(동명대 교수)의 전시 ‘독자의 여정(The Journey of Readers)’이 부...

사진책

당대 최고 사진선생이 이끄는 사진 항해

  • 곽윤섭
  • | 2015.12.14

필립 퍼키스 사진집 ‘바다로 떠나는 상자 속에서’ 책의 제목이 유력한, 그리고 거의 유일한 힌트 이해보다 마음의 느낌으로 읽고 저마다의 ...

강의실

베스트샷 골라보기-비자코리아 연탄배달 봉사활동

  • 사진마을
  • | 2015.12.10

비자코리아-장미란재단 연탄 나눔 활동 이 8장 중에서 베스트샷을 고른다면? 비자코리아에서 사진을 보내왔다. 내용은 12월 10일 비자코리아 임직원과...

전시회

걸어서 몸으로 마음으로 생각 속으로 [1]

  • 사진마을
  • | 2015.12.10

남인근씨 사진전 ‘감정 조각’  “담담하게 때로는 시리도록 아프거나 벅찬 행복의 모습들”  정진호씨 사진전 ‘서울 걷기’  “마음 내키는 ...

사진책

1960~70년대 초등학교 그랬던 그때를 아십니까

  • 사진마을
  • | 2015.12.06

김완기 사진집·사진전 ‘그땐 그랬지’ 40여 년 교직, 선생님과 사진가의 눈으로 김완기씨의 사진집 ‘그땐 그랬지’가 나왔다. 도서출판...

취재

노래·춤·마술 곁들여 얘기 술술…동심에 사랑 쏙쏙

  • 사진마을
  • | 2015.12.01

[내 나이가 어때서] <1> 동화구연 동호회 ‘아름다운 실버’    손 많이 움직여야 하니 좋고 아이들 기 받아서 좋고  애인 만나러 가는 날...

뭘까요

10월 정답자 및 11월 뭘까요 문제 발표

  • 곽윤섭
  • | 2015.11.27

10월치 ‘뭘까요?’의 정답은 코너 플래그입니다. 추첨하여 다섯 분을 뽑았습니다. 김진수(금개구리), 무인도, 백경재, 임종섭, 정혜정님께 대한민국 ...

전시회

15명이 각자 다른 길을 걸어도 좋소

  • 곽윤섭
  • | 2015.11.27

강남스트리트 포토그래피 11월25일부터 12월4일까지 사진 미술 대안공간 ‘스페이스 22’에서 금혜정, 윤승준, 한정희 등 15인이 참가하는 기획 사...

전시회

미지의 탐사, 그리고 발견 [2]

  • 곽윤섭
  • | 2015.11.27

고대문명, 우주도전, 지구촌 오지, 바닷속 세계... 200여점 인류가 발 닿는 곳 모두를 안방으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내셔널지오그래픽전 미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