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한 사진문화 형성을 기대한다
사진 찍는 인구가 천만이라고 한다. 하긴 폰카까지 끼면 더 많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사진인구에 비해서 사진 문화라고 할 만한 게 딱히 없다. 사진을 즐기는 문화 말이다. 대학에서 국문과를 나온 사람 중에는 작가가 되지 않고 그 작가들의 작품을 소비하는 사람에 만족하며 사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소설을 즐기고, 시집을 사고, 작품이라는 것에 목매달지 않고 자기 나름의 문학을 소비하는 문화가 나름 서 있다. 그 안에 담겨 있는 많은 의미와 메시지를 읽고, 그것으로 자신의 삶을 반추하고, 세계를 사유하곤 한다. 그런데 사진은 그런 문화가 별로 없는 듯하다. 그 많은 사진학과 졸업생은 다 어디로 갔을까? 그들은 사진을 찍고, 작가가 되려 하고, 사진으로 밥벌이를 하는 데 애를 쓰지만, 여의치 않은 경우 사진을 읽고, 사진으로 소통하고 하는 건강한 사진문화가 썩 널리 형성되어있지 않다. 갤러리나 미술관에 전시를 하거나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에 너무 집중되어 있는 듯하다.
한겨레포토워크숍은 이런 점에서 눈여겨 볼만 하다. 이번이 29기인데, 광주광역시 일원에서 열렸다. 사진작가가 되려는 사람들도 일부 있겠지만 그야말로 사진 애호가들의 모임이다. 이번의 경우 광주에서 모여 5.18 유적지인 자유공원에 가서 5.18에 대해 생각하고, 사진을 찍는다. 그리고 자리를 옮겨 근대 사적지인 양림동역사문화마을을 들러 근대 시기 광주의 역사에 대해 생각한다. 그리고 사진을 찍는다. 저녁때가 되어 예술야시장으로 유명한 대인시장에 가서 광주 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보고 같이 즐기고 사진을 찍는다. 밤에는 전체가 다 한자리에 모여 그날 찍은 사진들을 포트폴리오로 정리하고 곽윤섭 기자와 프로 사진가가 리뷰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번에는 사진가 임재천이 그 일을 맡았다. 리뷰를 원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자기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모두에게 보여주고 듣고 전문가의 평을 듣는 시간이었다.
사진이라는 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전하면 되는 일이다. 그것을 보는 사람이 사진가의 의도를 따라 읽어주는 게 좋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사진은 찍고 보여주는 사람에게만 감정과 해석의 권리가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을 보고 읽는 사람이 자신이 느낀 대로 느끼고 뜻을 해석해도 무방하다. (찍은) 사진가가 원하는 바를 (읽는) 독자가 제대로 읽어주기를 원한다면 그렇게 재현하고 표현해서 그 의도를 살리는 것이 핵심이다. 그렇지 않기를 원하면 이래도, 저래도 그만이다. 이러한 사진의 독특한 성격을 이해한다면 사진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무엇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잡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번 한겨레포토워크숍 29기를 참관해보니 몇 가지가 눈에 띈다. 포트폴리오를 제출하는 참가자가 일어나서 자신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즉 제목과 작가 노트를 말로 하는 순서가 메인이다. 사진가 가운데 자기의 의도를 제대로 말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그렇지 못한 사람들도 꽤 있다. 그냥 이미지가 좋아서, 유명한 사진가가 찍은 이미지를 보고 흉내 내려는 듯한 사진들이 꽤 있다. 사진가가 정한 주제가 명확하지 않은 채 ‘좋은’ 사진이란 있을 수 없다. 소위 좋은 구도라는 것에 따르는, 잘 찍은 사진 한 장이란 별 의미 없다. 사진가가 자신의 메시지를 전하는데 필요에 따라 구도를 어긋내고 싶으면 어긋낼 수도 있고, 흔들고 싶으면 흔들 수 있다. 사진가가 정한 주제에 따라 어떤 사진이 좋은 사진이 정해지는 것이지,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잘 찍은, 좋은 사진이란 있을 수 없다.
사진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특정 장소에 가서 무엇을 말할 것인지 즉 주제를 먼저 정하고, 그 주제를 전하기 위해 어떤 장면들을 채집할 것인지를 구상하고 찍는 것이다. 그래야 더 좋은 리뷰를 받을 수 있다. 그 위에서 사진으로 말하고, 사진으로 소통하여 궁극적으로 사진을 즐기는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사진작가가 되려는 사람들만의 모임이 아닌 카메라를 들고 전국 각지를 방문하고, 구경하고, 주민들과 만나며 그 느낌과 의미를 담아내려는 한겨레포토워크숍은 참 좋은 프로그램이다. 이광수 교수/부산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