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팔자가 상팔자'에 나오는 그 개를 만나다
[포토에세이] 김제의 겨울소경
11.11.30 09:44 ㅣ최종 업데이트 11.11.30 09:44 00044848.jpg 김민수 (dach)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IE001375430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시외버스 시골의 시외버스에선 사람냄새가 난다. 도시의 버스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 김민수
icon_tag.gif 시외버스

 

전북 김제터미널에서 금산사 가는 시외버스에 올라탔다. 그냥 시외버스가 아니라 정말 시골을 달리는 그런 시외버스를 얼마 만에 타보는 것인지 감회가 새롭다.

 

서울시내의 버스와 다른 점이 있다면, 시외버스에서는 사람냄새가 난다는 점이다. 드문드문 자리에 앉아있는 사람들 모두 안부를 주고받고, 낯선이에게도 어디까지 가느냐고 묻는다. 목적지를 이야기하자, 낯선이는 알 수도 없는 곳에서 내린다며 잘 다녀가란다.

 

서울시내의 버스에서는 어지간해서 아는 사람들을 만날 일이 없고, 저마다 자기 일에 열중을 하느라 다른 이에게 관심이 없다. 그런데 시외버스에서는 한 가족인냥 속속들이 가정사까지 꿰고 있는 듯, 이야기꽃이 피어난다.

 

조금은 못생긴 사람들, 순박한 사람들, 그저 자기가 살아가는 곳에서 할수 있는대로 열심히 살았던 그들이건만 이제 또 한미FTA라는 괴물의 횡포가 그들의 삶을 유린할 것이다.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이여?"하는 이들도 있지만, 그렇게 고향을 지키고 살아가는 땅의 사람들에게 십자가를 강요하는 현실이 스산한 겨울날씨와도 같았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IE001375431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까치밥 조금 못생긴 까닭에 까치밥으로 남았다. 잘 생긴 탓에 먼저 가지에서 떠난 이들보다 더 행복한 것은 아닐까?
ⓒ 김민수
icon_tag.gif 까치밥

 

제법 까치밥이 많이 남았다. 가만 살펴보니 크기도 작아서 곳감을 만들기도 그렇고, 상품화 하기도 어려운 그런 것들이다. 그냥저냥 따서 말리면 군것질거리라도 될런지 모르겠다. 못생겨서 그곳에 남아있는 것이려니 생각하니, 못생긴 것이 그리 나쁜 것만은 아닌 듯하다.

 

까치밥이 바람이 흔들리며 떨어졌다. 홍시가 된 까치밥이 땅에 안착할 리가 없다. 거의 터져버린 까치밥을 들어 흙을 떼어내고 맛을 보니 달착지근한 것이 잘 익었다. 저걸 어떻게 하나 따먹을 수 없을까 궁리를 하며 발로 감나무를 차보지만 그네들이 "웃기고 있네!" 조롱하듯 가지를 단단히 붙잡고 떨어지질 않는다.

 

'에이, 아직 저건 떫을 거야.' 그렇게 생각하면서 피식 웃는다. 이건 이솝우화도 아니고 현실인데, 왜 요즘 현실은 이렇게 코미디 같은 것인지 모르겠다. 허긴, 국민이 볼 땐 코미디지만 지들은 생사 혹은 명예가 달린 문제요, 정도라고 생각하고 있으니 진짜 서글픈 코미디가 아닌가!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IE001375433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서리 밤새 서리가 내렸다. 서리를 맞은 풀들이 시들거린다.
ⓒ 김민수
icon_tag.gif 서리

 

하룻밤을 보내고 아침 일찍 산책을 나섯더니 서리가 내렸다. 남도라도 아직도 푸른 기운이 남아있고, 쇠별꽃도 피어있다. 서릿발에 꼿꼿하던 풀잎도 늘어지고, 쇠별꽃도 고개를 푹 숙였다. 이렇게 몇번 서릿발을 맞으면 사그러들 것이다.

 

어쩌면 한미FTA는 월동준비를 끝내지 못한 풀에 내리는 서릿발이 아닐까 싶어 서글프다. 월동준비를 끝내지 못한 것은 그들의 잘못이 아니다. 그런데 서리가 내리면 그들이 죽어야 한다.

 

시절을 잘못 만난 것일까? 그들의 푸름이 안타깝기만 하다. 무슨 이유는 있을 터인데, 하필이면 겨울 초입에 이렇게 푸를 건 또 무엇이란 말인가?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IE001375434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호박 못생긴 것도 서러운데 버림까지 받았으니 얼마나 서러울까?
ⓒ 김민수
icon_tag.gif 호박

 

밭 한 구석에 못생긴 호박들이 썩어가고 있다. 못생긴 것도 서러운데 제대로 익지도 못해 버림을 받았으니 얼마나 서러울까? 그렇다고 의미없는 일은 아니겠지. 저 안에서도 겨울을 나고 싹을 틔우고 호박씨가 있을 터이고, 그리하지 못한다고 해도 밭을 기름지게하는 거름이 될 터이고, 혹시라도 배고픈 들짐승의 허기를 채워줄 수도 있을 터이니까.

 

나는 그들을 보면서 이 땅의 농민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못생겨서 버림받은 호박같은 인생들, 그럼에도 호박처럼 둥글둥글 살아가는 인생들이다. 그가 그였다. 어찌되든 그들은 살고 또 살아갈 것이다. 호박처럼 둥글둥글, 그래서 절망할 수가 없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IE001375435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견공 낯선 방문객의 발소리에도 완전무시하고 잠을 자는 견공, 새끼만 멀뚱멀뚱 객을 바라본다. 완전 개무시다.
ⓒ 김민수
icon_tag.gif 건공

 

그냥 발길을 돌려 치열한 경쟁의 도시 서울로 돌아오는 길을 천천히 할겸 청도리에 있는 귀신사(歸信寺)에 들렀다. 순전히 이름이 재미있어서였다. 이름은 그래도 들어있는 뜻은 의미심장하다.

 

사찰 마당엔 새끼강아지 세 마리가 어미개의 품에 안겨 젖을 빨고 있었다. 낯선 방문객의 발소리에 어미가 잠시 눈을 뜨는가 싶더니만 '개무시'하고 잠을 잔다. 새끼들도 에미를 닮아 물끄러니 쳐다보는 듯하더니만 이내 눈을 돌려버린다.

 

꼬리라도 치고 달려오면 쓰다듬어 줄 터인데, 꽤씸한 놈들 같으니라고. 그러다 문득 짖지 않는 것만으로도, 도망가지 않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싶다. 사찰이라고, 스님의 사랑 많이 받고 자랐겠구나. 너희들은 복날 걱정 없겠구나. 너희들 행동을 보니 사람들이 별로 무섭지 않구나. 비록 어미개 묶여 있어도 개답게 살고 있구나. 개팔자가 상팔자라고 할 때, 그 개가 너희들이구나. 너희들이 정말 개구나.

 

서울로 돌아와 뉴스를 보니 아, 개만도 못한 인간들이 국민을 물어뜯는 소리가 넘쳐난다. 공권력에 린치당하는 국민들은 보이지 않는지, 거품을 물고 국민을 물어뜯으려고 안달들이다. 권력의 개가 되어버린 이들은 오로지 자신들이 정의라며 발악을 한다. 개들이 판을 친다. 개팔자가 상팔자라는 말에 나오는 개와는 다른 미친개말이다.

ⓒ 2011 OhmyNews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엮인글 :
http://photovil.hani.co.kr/147951/25c/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공지 전체 연천 포토워크숍 후기-김정현 imagefile 사진마을 2020-11-14 259258
공지 전체 2020 한겨레포토워크숍 연천편 imagefile 사진마을 2020-11-14 265395
공지 전체 2019 하반기 사진여행 전주시편 imagefile 사진마을 2019-09-23 298901
공지 전체 곽윤섭 기자, 윤정 작가와 함께하는 사진여행 imagefile 사진마을 2019-05-27 284925
공지 29기-광주광역시편 [29기] 심사평-말 걸면서 셔터 누르니 사진에서 이야기가 두런두런 imagefile 사진마을 2018-08-06 335452
공지 29기-광주광역시편 [29기]최우수, 우수상 수상소감 imagefile 사진마을 2018-08-06 331350
공지 29기-광주광역시편 [29기] 이광수 교수 참관기 imagefile 사진마을 2018-08-06 336301
공지 사진기행 마감했습니다-29기 광주광역시편 참가자 모집 안내 imagefile [1] 사진마을 2018-06-08 365528
공지 28기-대한사협,담양편 [28기 심사평, 최우수상 소감] ‘삶과 죽음’ 주제 완성도 높은 편집 imagefile 사진마을 2017-10-31 351406
공지 27기-익산야시장편 [27기] 익산 야시장편 심사평 imagefile 사진마을 2017-08-02 364436
공지 26기 한산모시문화제편 [26기 수상작 발표] 사람과 풍경 흐드러진 축제, 사진이 춤추게 하려면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20 369971
공지 26기 한산모시문화제편 [26기 서천군수상 박남희 수상소감]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20 375759
공지 26기 한산모시문화제편 [26기 워크숍 참가기- 정세환, 배영]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20 375852
공지 25기-경부선편 [25기 심사평2] 참가자 전원 개별 리뷰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01 374965
공지 25기-경부선편 [25기] 우수상 김은영 수상소감 imagefile [1] 사진마을 2017-05-31 379256
공지 25기-경부선편 [25기 심사평] 마법같은 순간 상상의 공간으로 확대 imagefile 사진마을 2017-05-31 381333
공지 23기-서울편 [23기 심사평 2] 참가자 전원 개별 리뷰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8-17 385771
공지 23기-서울편 [23기 심사평 1] 과감한 구성과 걸러지지 않은 투박함은 동전의 양면이다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8-17 400561
공지 22기-진안편 [22기 심사평] 우스꽝스럽고 슬픈 사실의 총합이 이루어낸 ‘실재’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4-29 383945
공지 22기-진안편 [22기 최우수상 배영 수상소감] 숨어있는 작은 일상을 주인공으로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4-29 391095
공지 20기-전주 나주편 대상의 완벽한 재현보다 나를 찾아가는 길 imagefile [12] 사진마을 2015-10-26 421551
공지 20기-전주 나주편 빛과 그늘 사이, 부제 없이 주요소만 imagefile [2] 곽윤섭 2015-10-26 428953
공지 19기-시모노세키 [19기 우수상 소감] 김제숙-정태경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9-22 428043
공지 19기-시모노세키 [19기 참가기] 스스럼 없는 정 맘껏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9-22 421097
공지 19기-시모노세키 [19기 심사평] 반복은 금물, 급변도 곤란 imagefile 곽윤섭 2015-09-21 421537
공지 전체 공지-공지에 올라온 글, 각 기수 카테고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사진마을 2015-09-15 412886
1692 5기 5월2일 오리데이 imagefile 박호광 2014-05-02 5431
1691 5기 홍천 은행나무숲에 함께 가실분 있으세요? [5] zikimi2010 2011-10-07 5432
1690 5기 몽돌처럼 imagefile 김민수 2014-01-20 5432
1689 5기 마지막 남은 땅(3)- 아직은 살아있다. imagefile 송영관 2014-05-17 5432
1688 5기 씁씁한 미소 imagefile [3] parkknoc 2012-01-05 5433
1687 5기 봄맞이하는 아이들 imagefile [2] 김민수 2013-03-17 5433
1686 5기 소매물도 imagefile [1] 김민수 2013-07-29 5433
1685 5기 매미야 노올자~~~ imagefile [2] 김선희 2013-08-23 5433
1684 5기 할머니의 도라지 imagefile [1] 김민수 2014-02-24 5433
1683 5기 능소화 imagefile [3] 김민수 2012-07-27 5434
1682 5기 안녕하지 못한 대한민국 imagefile [1] 김민수 2013-12-17 5434
1681 5기 사랑과 영혼 imagefile [1] 김민수 2014-12-29 5434
1680 5기 박무 속의 일출 imagefile 송영관 2015-01-20 5434
1679 5기 그림자2 imagefile [3] dkdlfjq 2011-09-01 5435
1678 5기 빛가득 (1월10일의 사진입니다.) imagefile [5] dkdlfjq 2012-01-10 5435
1677 5기 자라섬 RHYTHM&BBQ FESTIVAL imagefile 김민수 2013-05-18 5435
1676 5기 안돼~~~!!! imagefile 김선희 2013-08-22 5435
1675 5기 도솔천의 빛과 색 imagefile 송영관 2014-11-08 5435
1674 5기 학교는 방학중. (1월2일의 사진입니다.) imagefile [6] dkdlfjq 2012-01-02 5436
1673 5기 나무 imagefile 김민수 2012-03-13 5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