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수상 <아픔의 섬 그래서 슬픈 백령도>

보이지 않는 것에 도전하고 응답하라

 

 한겨레포토워크숍 제18기 백령도 편이 지난 6월26~28일 대청도와 백령도에서 열렸다. 이번 워크숍도 한겨레 사진마을과 북유럽 전문 여행사 미지투어, 한겨레교육문화센터가 함께 진행했다. 워크숍 참가자들이 제출한 10장씩의 포트폴리오를 현지 동행 강사였던 이영욱 배다리 사진공방 학예연구실장과 곽윤섭 선임기자가 심사했고 권해진씨의 <아픔의 섬 그래서 슬픈 섬 백령도>가 최우수작으로 선정되었다. 시상식은 8월7일 저녁 7시30분에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열린다.
 한겨레포토워크숍 19기는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8월27일부터 30일까지 열린다. 현지 동행 강사는 사진가 신미식과 한겨레 곽윤섭 선임기자다. 현재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참가자 접수를 하고 있다.

 


hpw01.jpg

 

 

  사진은 말이 없다. 그래서 말 없는 이미지에 말을 붙이는 일이 중요하다. 사진이미지를 응시한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응답이다. 그런데 이미지에 답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상징질서에서 가져온 의미들이고 다른 하나는 기호체계에서 벗어난 언어들이다.
 
  사진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테마를 만들고 주제의식이 분명히 전달되려면 상징적 코드의 언어와 접속해야 한다. 반면에 사진이미지가 기호체계에서 벗어난 낯선 영역을 그대로 보여주면 고정된 의미를 만들 수 없다. 이것은 정보전달력이 영도(zero degree)상태로 작가의 의도를 정확히 가름할 수 없게 된다. 대신에 찍혀진 대상의 의미는 모호하지만 추측과 상상을 불러일으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가능성이 커진다. 의미를 명쾌하게 한다는 것이 반드시 작가의 의도를 알 수 있을 때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문제는 그 이미지가 나에게 어떤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얼마나 매혹적일 수 있는가에 있다. 이는 관객의 주관적인 몫이다. 따라서 이번에 각기 10장의 사진들을 선택해서 순서를 정하고 텍스트를 첨부하는 방법은 작가의 의도를 잘 설명하거나 감정적인 표현에 충실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아는 것과 직접 경험하는 것은 다르다. 우리는 종종 지식정보와 경험을 동일시한다. 2박 3일간의 대청도와 백령도에서 만났던 그 모든 것들은 사실상 처음 만나는 것들이어야 했다. 이것이 가능해지려면 촬영자의 의도를 기존의 코드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 속에서 경험한 감각적인 세계 밑바닥에서 건져 올린 것들이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의 의식은 습관적으로 이것들을 상식 일반의 코드로 묶어 버림으로써 동일한 의미와 차이 없는 대상으로 만든다. 어디선가 자주 본 듯한 이런 사진들은 세상에 너무 많아 잉여적이다.
 

 

ghj01.jpg

ghj02.jpg

ghj03.jpg

ghj04.jpg

ghj05.jpg

ghj06.jpg

ghj07.JPG

ghj08.JPG

ghj09.JPG

ghj10.JPG » 최우수상 권해진

 


  최우수상을 수상한 권해진의 <아픔의 섬 그래서 슬픈 섬 백령도>은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평범하지만 특이했고 주제의식에서 벗어나지 않는 사진들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순서를 잘 배치했다. 특히 각각의 이미지들은 하나의 단어들을 쉽게 연상하게 한다. 태극기, 비행기, 군인, 철조망, 대포, 포탄 파편, 지뢰밭, 출입금지표지, 다리에 부상당한 병사, 군함, 절벽에 군사진지, 추모탑. 이것들은 마치 파편적인 단어들을 무의미하게 나열한 초현실의 시처럼 보인다. 이 이미지들을 이어붙이면 어떤 서사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그 이야기의 주체는 관객의 상상력의 몫이다. 아마도 작가가 의도했던 이야기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추측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말 없는 사진이미지가 제기하는 존재론적인 메시지의 풍부함이다. 대상을 응시하는 작가의 시선 또한 주목된다.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프레임 워크는 10장의 사진이 불필요하게 이야기를 남발하지 않으면서 일관성 있는 응집력으로 기표들을 모아주고 있다. 첫 장의 사진이 이야기를 끌어가고 마지막 장에서 완결하는 깔끔함도 돋보였다. 
 
 ubikey의 <열망의 섬 그곳에 그리움을 묻다>은 자신의 텍스트 내용과 유사한 이미지를 함께 배치해서 이야기를 끌어가는 사진선택과 배치가 돋보였고 서정적 시적 분위기가 좋았다. 그러나 지나치게 개인의 감성에 치우쳐 이번 촬영장소의 특수성과 그곳에서 만난 대상과의 접촉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는 매우 약했다.
 true nature의 <War on the coastline>은 멋진 제목에 비해서 너무 과장된 느낌이고 중복되는 사진들이 있어 긴장감이 떨어졌다. 다양한 피사체의 선택을 통해서 이야기를 전개하는 씨앗이미지들이 필요하다. 아니면 유형적으로 닮아있는 피사체를 반복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작가의 관심이 제목에서처럼 무엇에 있는지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보물섬의 <사람, 삶, 자연의 흔적>은 사진 그 자체가 흔적을 남기는 행위이고, 대상이 과거 한 때 존재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인데, 지나치게 ‘흔적’의 의미를 자연과 인간의 삶 속에서 추상적으로 확대해석했다. 보물섬의 사진은 그보다는 시각적 구성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 빛의 반짝임에 덧없는 찰나의 존재감을 주는 해변 갯벌사진이 좋았다.  
 
 송영관의 <천혜의 비경과 분단현실>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분단현실의 두 가지 이야기를 하나로 연결하려다 보니 다소 주제의식이 산만해졌다. 차라리 분단현실이라는 주제로 6번째, 8번째, 9번째 사진 중심으로 선택했으면 좋았겠다. 그 중에 6번째 사진은 특히 탱크와 관광버스가 함께 있는 모습이 흥미로웠다. 만약에 앞에 지나가는 사람들이 없었더라면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마치 버스 속에 갇혀있는 듯 기묘한 상황이 연상된다. 
 
 오영심의 <대청도와 백령도가 전해준 여백의 시간들>은 색이 예쁘다. 아마도 그 여백의 시간이라는 개념을 설정해서 특별히 컬러를 선택한 듯이 보인다. 이왕에 그렇다면 10장의 사진 모두가 모노톤의 엷은 컬러로 통일되면 더욱 좋았겠다. 그에 맞추어 대상의 형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주변의 프레임을 좀 더 간결하게 처리하면 어땠을까?
 
 blueroy의 <풍경을 담는 사람들>은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서로 다른 사진을 담는 사람들을 일관성 있게 잘 선택했다. 한 장 한 장 사진에 짧은 텍스트 또한 하나의 이미지가 잘 어우러져 재미있었다. 다만 이런 사진들의 유형은 그 대상이 되었던 사람들은 쉽게 감동하겠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흥미롭게 보지는 않을 듯하다. 시선을 오히려 마지막 사진처럼 대상과 자신에게 투사하는 것은 어떨지?
 
 곽영미의 <느리게 섬을 걷다.>는 너무 많은 사진을 보여 주었다. 그러다 보니 사진의 주제의식이 약해졌다. 처음 몇 장의 사진들은 저 멀리 갈매기와 사람들이 작게 보이지만 그것이 없으면 화면 전체 분위기를 바꿔놓을 만큼 중요한 세부다. 이처럼 어떤 장면에서 부분적인 세부가 전체를 지배하는 프레임워크는 매우 섬세한 감각이 요구된다. 이 능력을 잘 발전시키면 좋겠다.
 
 jb864의 <46 + 46 = 추모 그리고 일상>은 첫 번째 사진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두 장면이 마치 한 화면인 것처럼, 그러나 전체 사진들이 이처럼 배치되지 못한 것이 아쉽다. 꼭 두 장이 연결되지 않더라도 10장의 사진들이 유기적으로 어떤 개연성으로 배치되거나 변증법적으로 충돌되면 강력한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이동준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는 하나의 주제의식으로 잘 선택했지만 중복되는 이미지로 지루함을 준다.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단지 군사시설물과 군인들을 등장시킨다고 해서 그것이 잊었던 사실을 더 환기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평화로운 일상에서 갑자기 엄습하는 전쟁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만 있다면 그 강도는 컸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레드이미지를 설정한 것은 좋았다.
  
 꼬창라이의 <살벌할 것 같은 백령도에서 느끼는 소소한 재미꺼리>은 웃음이 절로 나온다. 이미지가 쉽게 연상되는 것들과 정말 닮았다. 심각하지 않으면서 소소한 재미꺼리를 주는 백령도의 다양한 모습을 예리한 관찰력으로 웃기게 보았다. 이처럼 나의 관점이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서 대상은 다양한 모습으로 그 존재감을 드러낸다. 다만 웃음 속에 어떤 의미심장함이 있으면, 그냥 그 대상을 웃고 넘길 수만은 없는 것이었다면 매우 뛰어난 작업이 되었을 것이다.   
 
 김성훈의 <경계에 서다.>은 작가의 마음을 풍경에 투사하는 글과 사진이미지로 구성했다. 그러나 이 사진들이 전체적으로 잘 연결이 안 되는 것은 지나치게 이야기가 많아서 서로 각각의 사진들이 간섭을 하기 때문이다. 빈 여백을 주듯이 관객으로 하여금 생각에 잠기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을 너무 많이 설명하면 관객의 상상력을 빼앗게 된다. 
 
 이현준의 <백령도 그곳>은 흑백사진과 컬러사진을 함께 보여준 그 이유가 궁금하다. 형식을 남다르게 하면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약하면 작위적이 되고 지나치게 주관적이 돼서 관객은 흥미를 잃게 된다. 결국 모든 이미지는 자의적으로 해석되는 것이지만, 길을 잃지 않고 사진 이미지의 미로에서 나오려면 아리아드네가 건네준 출구의 실을 손에서 놓지 말아야 한다. 
 
 ggobuggi의 <편안 安>은 프레임 주변의 피사체를 자르는 자유로움이 있어서 반대편의 공간이 열려서 덕분에 이상하게 편안했다. 잘린 피사체로 시선이 가면 프레임 밖으로 시선이 옮겨지는 것도 공간의 확장을 넓혀준다. 마지막 사진 프레임과 3번째 사진에 인물이 잘리며 만들어진 프레임은 전혀 다른 것으로 만약 프레임의식에 편안함을 주려면 3번째 사진유형이 더 적합하다.
 
 이명재는 이번에 특별한 주제나 의미를 가지고 사진을 선택한 것은 아니지만, 처음 카메라를 들고 찍은 사진치고는 조형적 감각이 좋다. 특히 1, 2, 3번은 대상을 잘 관찰해서 화면에 필요한 부분만 정직하게 담아서 좋았다. 대상의 색과 질감을 과장되게 강조하지 않아서 모노톤의 부드러움이 잘 살았다. 그러나 마지막 사진은 너무 흔한 사진이고 특별히 매력적이지 못하다.
 
 김민수의 <인공의 패턴과 자연의 패턴>은 자연의 패턴과 인공의 패턴은 다르다. 자연은 결코 같은 것이 하나도 없다. 인간이 만들어낸 것만이 똑같다. 이 흥미로운 사실을 정확히 간파하지 못하면 패턴을 단순한 주제로 하는 사진들의 공통된 시각은 인간이 공장에서 대량생산하는 물건처럼 똑같다. 문제는 패턴의 시각효과가 아니라 패턴이라는 현상을 어떤 시선으로 볼 것인가가 중요하다.
 
 뛰어난 사진가는 자신의 삶 속에서 신체가 기억한 감각적인 언어로 대상을 바라보는 자다. 그리고 대상 스스로 말하게 내버려 둔다. 세상에 사연 없는 대상이 어디 있겠는가? 그 대상 앞에서 사진가가 할 수 있는 일은 의미로 코드를 덧씌우거나 작위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침묵에 목소리를 듣는 일이다. 그런 연후에 사진이미지를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어떤 기준점(code)도 없이 말 없는 사진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배치하는 것은 선택과 배치의 훈련이 있어야 하는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짧은 여행에서 얻어진 사진들로 주제의식을 분명하게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적어도 내가 경험한 세계에서 어떤 의문점들을 평소에 가지고 있었을 때 충분히 가능하다. 이는 꼭 정답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의문점이 질문을 던지는 방식이 되었을 때 곧 작품에 문제의식을 공유하게 된다. 즉, 작업에 내용이자 주제의식이 되는 것이다. 그럴 때 나만의 고유한 시선이 나오게 되는 것이고 보편적으로 공감을 얻을 수 있다.
 
(한겨레 포토워크숍에서 함께한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덕분에 유익한 시간이었고 즐거운 여행이었습니다.)
 
 심사평: 이영욱 (배다리 사진공방 학예연구실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공지 전체 연천 포토워크숍 후기-김정현 imagefile 사진마을 2020-11-14 266943
공지 전체 2020 한겨레포토워크숍 연천편 imagefile 사진마을 2020-11-14 274211
공지 전체 2019 하반기 사진여행 전주시편 imagefile 사진마을 2019-09-23 308857
공지 전체 곽윤섭 기자, 윤정 작가와 함께하는 사진여행 imagefile 사진마을 2019-05-27 292932
공지 29기-광주광역시편 [29기] 심사평-말 걸면서 셔터 누르니 사진에서 이야기가 두런두런 imagefile 사진마을 2018-08-06 345571
공지 29기-광주광역시편 [29기]최우수, 우수상 수상소감 imagefile 사진마을 2018-08-06 340098
공지 29기-광주광역시편 [29기] 이광수 교수 참관기 imagefile 사진마을 2018-08-06 346221
공지 사진기행 마감했습니다-29기 광주광역시편 참가자 모집 안내 imagefile [1] 사진마을 2018-06-08 374908
공지 28기-대한사협,담양편 [28기 심사평, 최우수상 소감] ‘삶과 죽음’ 주제 완성도 높은 편집 imagefile 사진마을 2017-10-31 359725
공지 27기-익산야시장편 [27기] 익산 야시장편 심사평 imagefile 사진마을 2017-08-02 373062
공지 26기 한산모시문화제편 [26기 수상작 발표] 사람과 풍경 흐드러진 축제, 사진이 춤추게 하려면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20 379054
공지 26기 한산모시문화제편 [26기 서천군수상 박남희 수상소감]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20 385660
공지 26기 한산모시문화제편 [26기 워크숍 참가기- 정세환, 배영]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20 383509
공지 25기-경부선편 [25기 심사평2] 참가자 전원 개별 리뷰 imagefile 사진마을 2017-06-01 385084
공지 25기-경부선편 [25기] 우수상 김은영 수상소감 imagefile [1] 사진마을 2017-05-31 388568
공지 25기-경부선편 [25기 심사평] 마법같은 순간 상상의 공간으로 확대 imagefile 사진마을 2017-05-31 389211
공지 23기-서울편 [23기 심사평 2] 참가자 전원 개별 리뷰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8-17 394895
공지 23기-서울편 [23기 심사평 1] 과감한 구성과 걸러지지 않은 투박함은 동전의 양면이다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8-17 409341
공지 22기-진안편 [22기 심사평] 우스꽝스럽고 슬픈 사실의 총합이 이루어낸 ‘실재’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4-29 390282
공지 22기-진안편 [22기 최우수상 배영 수상소감] 숨어있는 작은 일상을 주인공으로 imagefile [2] 사진마을 2016-04-29 399125
공지 20기-전주 나주편 대상의 완벽한 재현보다 나를 찾아가는 길 imagefile [12] 사진마을 2015-10-26 429956
공지 20기-전주 나주편 빛과 그늘 사이, 부제 없이 주요소만 imagefile [2] 곽윤섭 2015-10-26 437551
공지 19기-시모노세키 [19기 우수상 소감] 김제숙-정태경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9-22 436674
공지 19기-시모노세키 [19기 참가기] 스스럼 없는 정 맘껏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9-22 428937
공지 19기-시모노세키 [19기 심사평] 반복은 금물, 급변도 곤란 imagefile 곽윤섭 2015-09-21 428252
공지 전체 공지-공지에 올라온 글, 각 기수 카테고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사진마을 2015-09-15 419004
42 전체 15기 한겨레포토워크숍 예비 공지-군산 imagefile 곽윤섭 2014-10-10 15863
41 전체 한겨레포토워크숍-제 15기 군산-모집 시작-홍세화 선생 인문학 특강 포함 imagefile 곽윤섭 2014-10-20 31359
40 전체 16기 한겨레포토워크숍 태백에서 합니다. 곽윤섭 2014-12-26 16714
39 전체 한겨레포토워크숍 태백편 공지-마감되었습니다 imagefile [1] 곽윤섭 2014-12-31 27818
38 16기 게시판 [심사평] 일하는 삶 폭넓은 표현 돋보여 imagefile [5] 곽윤섭 2015-02-16 46481
37 16기 게시판 [최우수상]사진 안의 나, 내 안의 태백 file [6] 곽윤섭 2015-02-16 56948
36 전체 한겨레포토워크숍 울산편 공지-일정 수정(스페셜 게스트 한선영 작가 동행) imagefile 곽윤섭 2015-03-23 31746
35 전체 공식 모집 시작-한겨레포토워크숍 백령도편 imagefile [21] 곽윤섭 2015-05-06 19586
34 전체 [17기 심사평] 실체보다 더 한 실체, 그림자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5-26 35997
33 전체 [17기 최우수상] 언제나 사람, 그 순간 그 감성 그대로 imagefile [2] 사진마을 2015-05-26 28675
32 전체 [17기 장려상] 30년 공백, 렌즈에 미소가 imagefile [6] 사진마을 2015-05-27 33476
31 19기-시모노세키 한겨레포토워크숍 19기 시모노세키편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7-15 44047
» 18기 (백령도) 게시판 [18기 심사평] 침묵에 대한 응답-이영욱 imagefile 사진마을 2015-07-28 55290
29 20기-전주 나주편 한겨레포토워크숍 20기-결제창 오픈 imagefile [1] 사진마을 2015-09-08 58904
28 20기-전주 나주편 전체 참가자 개별 리뷰(1) imagefile [4] 곽윤섭 2015-10-27 50771
27 20기-전주 나주편 전체 참가자 개별 리뷰(2) 7번~12번 imagefile [6] 곽윤섭 2015-10-28 55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