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지면 상상력이 춤춘다

곽윤섭 2008. 11. 27
조회수 14125 추천수 2

감각교육-2.jpg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가 교육서 <감각>을 만져보고 있다.

 


 

PHOTO STORY- 빛을 만지는 아이들

 

시민예술을 기반으로 한 공공문화를 추구하는 ‘공공문화개발센터 유알아트’는 요즘 한창 감각 그림책을 만들고 있다. 올 3월에 시작한 새 출판프로젝트 ‘빛을 만지는 아이들’작업의 일환이다.

 

그림책 속의 그림은 돌출인쇄와 함께 물체의 질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비닐, 천, 종이 등 촉감이 뚜렷한 재질들을 사용해 표현한다. 대부분의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어, 자원 봉사자들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그림과 점자가 함께 표기돼 있는 이 그림책들은 시각장애 어린이들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일반 어린이나 성인들에게도 훌륭한 감각교육 교재로 사용된다.

 

아이들에게 산을 그리라고 하면 대체로 세모꼴의 산을 그린다. 그러나 산에 가본 적이 있는 시각장애아들은 나뭇잎이 밟히는 흙, 나무 기둥, 울퉁불퉁한 길을 자신이 경험한 순으로 그린다. 감성이 굳어버린 어른들이 모자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일 수도 있다는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왕자> 이야기가 주는 교훈을 연상시킨다.

 

‘빛을 만지는 아이들’ 프로젝트는 시각 중심의 세계에 빠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감각의 세계를 보여준다. ‘듣고 본’ 것을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세상을 알아가는 또다른 감각 방식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맡고 있는 김지나 소장은 “모든 사람들이 함께 감각 그림책을 통해 서로의 경험과 표현을 알아가는 것이 곧 문화적 통합일 것”이라고 말한다.

 

감각 교육서는 학교 현장이나 아동 시설, 가정 등에서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도서들은 대학로 ‘빛을 만지는 아이들’ 책 갤러리나 온라인을 통해 만날 수 있다.   http://www.urart.org

 

 사진·글/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감각교육016.jpg

책에 들어갈 여러 재질의 그림을 레이저커팅기가 자동으로 잘라내고 있다.

 

감각교육007.jpg

                    레이저가 잘라낸 그림을 뜯어낸다.


 

감각교육003.jpg

레이저커팅기로 잘라낸 그림을 하나씩 붙이는 것은 손으로 할 수 밖에 없다. 자원봉사자로 꾸려진 `삼신할매팀’이 수작업을 담당했다.


 

감각교육009.jpg

우섭이가 촉각판을 만져보고 있다. 여러 재질의 천과 종이를 만져본 뒤의 느낌을 쓰게 했더니 “너영너영, 더굴더굴...”  국어사전엔 안나오는 독창적이며 정감있는 표현들이 쏟아졌다.


 

감각교육013.jpg

서울 종로구 동숭동 ‘빛을 만지는 아이들’ 작업장에 가을빛이 쏟아졌다.


 

감각교육015.jpg

‘빛을 만지는 아이들’ 예술학교 학생 정우섭(8)어린이. 교사가 간지럼을 태우자 웃고 있다. 신체적 접촉을 통해 유대감이 형성되는데 이게 바로 교육이다.

 

감각교육-1.jpg

눈초롱어린이집 어린이들이 지난달 21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손끝으로 보는 세상’ 체험전에서 <강아지똥>을 만지면서 읽고 있다.


 

감각교육-3.jpg

한 아이가 ‘손끝으로 보는 세계 명화’ 코너에서 모나리자를 감상하고 있다.

 

 

감각교육-4.jpg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인 수녀들이 각자 찾아온 ‘미안한 마음’, ‘선생님의 냄새’, ‘가벼움’ 등에 대해 발표하면서 활짝 웃고 있다.


 

감각교육-5.jpg

‘빛을 만지는 아이들’ 작업공간의 한쪽 벽엔 각자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감각교육 도구들이 있다. 종이를 못으로 긁어 회초리를 표현한 것이 있는가 하면, 머리카락 한 가닥과 100원짜리 동전을 붙여 어머니의 흰 머리를 표현한 것도 있다.


 

감각교육010.jpg

'빛을 만지는 아이들‘ 일꾼들. 왼쪽부터 김지나 소장, 김소영 정책·연구팀장, 정성희 출판팀장, 박가람 촉각예술팀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강의실

천편일률적인 단체사진 탈출법

  • 곽윤섭
  • | 2008.12.18

사람들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모여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집을 구입해서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도 집마다 최소 ...

취재

사람이 없는 뉴스사진…보도사진이 달라졌어요

  • 곽윤섭
  • | 2008.12.16

  이집트 국경의 철망에 걸린 아프리카 소녀의 드레스- 요나단 웨이츠만 (이스라엘)  월드프레스포토0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

강의실

똑같은 사진도 작가가 찍으면 작품? [2]

  • 곽윤섭
  • | 2008.12.11

  작가와 아마추어는 다르다고? 사진마을 회원 ‘초보찍사’ 님이 질문을 보내왔습니다. 사진의 내용에 대해 묻는 것은 아니고 “작가와 아마추어...

강의실

인물사진 촬영때 동의 받는 건 필수

  • 곽윤섭
  • | 2008.12.04

   <강의실>의 제 글을 읽으신 dasto3118 님께서 덧글로 문제제기와 질문을 해오셨습니다.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 제기이므로 이 코너를 이용...

취재

갑사 가는 길 오렌지 카펫

  • 곽윤섭
  • | 2008.12.02

사진명소답사기⑧ 공주 일대-계룡산 갑사, 공산성 겨울을 앞둔 갑사에선 기와지붕 개량공사가 한창이다. 단풍 더하기 은행은? 정답은 주황색 융단이다...

취재

만지면 상상력이 춤춘다

  • 곽윤섭
  • | 2008.11.27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가 교육서 &lt;감각&gt;을 만져보고 있다. PHOTO STORY- 빛을 만지는 아이들 시민예술을 기반...

강의실

중간 점검-좋은 사진을 찍는 몇가지 방법

  • 곽윤섭
  • | 2008.11.24

각자에게 맞는 편안한 자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사진에 대한 이야기는 끝났습니다. 강의실을 연 지 아홉달이 지났고 그 동안 올린 글...

취재

일산 고수들 다 모였네

  • 곽윤섭
  • | 2008.11.13

목용균 일산디카마니아 사진전 사진 동호회 클럽 아이디엠(Club IDM:일산디카마니아)이 11월 9일부터 일산 웨스턴돔 이벤트 광장에서 사진전을 열...

취재

이게 중학생의 사진이라고?

  • 곽윤섭
  • | 2008.11.11

언북중학교 사진반 학생들이 과천 서울랜드를 찾았다. V라인 포즈를 요구했는데 왼쪽에 있는 지도교사 최태원 선생님과 그 옆의 교장 이신우 선생...

강의실

최고의 모델은 가까운 곳에

  • 곽윤섭
  • | 2008.11.05

엄정미   가족은 가장 훌륭한 인물사진 모델 지금까지 인물을 찍어보자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굴 찍어야 하는 것일까요? 사진동호회에...

취재

금강을 밟아보자-유물로 보는 선조들의 가을 이야기

  • 곽윤섭
  • | 2008.10.28

[국립중앙박물관 가을 테마전] 계단에 정수영의 해산첩-집선봉을 그려두었다. 멀리서 보면 금강산의 절경이 그대로 보인다. 산수화는 산과 물, 나...

취재

영남대 산책로의 가을이 예술이네

  • 곽윤섭
  • | 2008.10.24

곽윤섭의 사진명소 답사기 ⑦ 영남대 산책로와 몇 곳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대구사진비엔날레가 열린다. 10개국 200여 작가의 사진...

취재

이 저녁에 그의 사진이 깊어져간다

  • 곽윤섭
  • | 2008.10.13

김천,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강운구 사진전-'저녁에' 한국을 대표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가 강운...

강의실

인물사진 찍기 전 마음을 열어야

  • 곽윤섭
  • | 2008.10.06

한겨레 21 커버스토리를 위해 제가 찍은 한비야씨입니다. ‘작업’을 걸듯 이야기를 나눠보자 인물사진엔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특히 모델이 자기...

취재

가을 선운사 꽃무릇 불꽃놀이

  • 곽윤섭
  • | 2008.09.25

곽윤섭의 사진명소답사기⑥ 고창 선운사 꽃무릇길 그동안 주로 사시사철 언제 찾더라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다. 그런 곳은 지형이나 ...

강의실

인물사진, 프로사진작가만 찍을쏘냐? [1]

  • 곽윤섭
  • | 2008.09.24

이 사진을 찍은 생활사진가는 가장 편한 모델로 조카를 선택했다. 이불에 슬쩍 던져두자 즐거워하는 순간이다. 사진가와 모델 사이에 신뢰가 넘치...

취재

사진인가 그림인가…장르 파괴의 생생 현장

  • 곽윤섭
  • | 2008.09.19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 작 ‘갈채’ 한국국제아트페어에서 본 현대미술의 단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2008)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

강의실

사진찍기의 첫 걸음은 인물로부터 [2]

  • 곽윤섭
  • | 2008.09.19

무엇을 찍을 것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를 해봤습니다. 사진용어로 이야기하자면 ’다양한 앵글...

취재

일본인 눈에 비친 1965년의 청계천 풍경

  • 곽윤섭
  • | 2008.09.11

‘구와바라 시세이_청계천 사진전’ 일본의 유명 원로사진가 중엔 ‘매그넘코리아’에 참가했던 일본 유일의 매그넘 회원 구보타 히로지(69)가 있고 ...

강의실

보자마자 우선 ‘찰칵’…다가가서 다시 한 컷

  • 곽윤섭
  • | 2008.09.09

고양이 눈높이에서 ② 취재 때문에 흔히 ‘길냥이’라고 불리는 거리의 고양이들을 찍을 일이 있었습니다. 밤이 이슥한 퇴근길에 몇차례나 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