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을 밟아보자-유물로 보는 선조들의 가을 이야기

곽윤섭 2008. 10. 28
조회수 12872 추천수 0

 
[국립중앙박물관 가을 테마전]

            박물관1.jpg

계단에 정수영의 해산첩-집선봉을 그려두었다. 멀리서 보면 금강산의 절경이 그대로 보인다.

 

 

산수화는 산과 물, 나무와 돌 등 풍경을 주로 그린 그림이다. 인물, 화조와 함께 가장 많이 그려진 그림의 종류라 할 수 있다. 인위적인 분류라서 내키진 않지만 사진에서도 비슷하게 나눌 수 있다. 인물을 찍으면 인물사진이며 꽃과 곤충을 가까이 찍으면 접사사진일 것이고 산과 숲과 물과 강, 호수 등을 멀리서 담으면 풍경사진이 된다. 그러므로 산수화는 사진으로 보자면 풍경사진에 해당한다.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 사진을 많이 보는 것을 늘 권하지만 좋은 그림을 보는 것도 큰 공부가 된다. 그림과 사진의 차이를 생각하면서 또 한편으로 그림과 사진의 유사점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산수화는 생략과 변형 등을 통해 특징적인 인상만 전한다. 아리 그뤼에르나 브뤼노 바르베의 사진을 보면 그늘, 눈, 안개 등을 통해 산수화를 그린 화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사진가와 화가의 마음이 다르지 않다.

 

‘국민여동생’ 문근영이 출연하여 화제를 모으고 있는 ‘바람의 화원’ 덕도 있고 비슷한 시기 산수화를 공개한 간송미술관의 덕도 있어서 이 가을 대한민국에 산수화 바람이 불고 있다. 아주 가끔 텔레비전이 대중들의 교양을 살찌워주기도 한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겸재 정선이 진경산수화란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것, 진경산수화는 다시 실경과 선경으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 다시금 기억에 되살아난 것도 그 덕이다. 정선의 그림 중에서 진경산수화의 완성이라 불리는 금강전도는 이름에서 보이듯 금강산을 그린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을 그린 곳은 금강산이 아닌 청하(원래 청하군이었다가 포항시에 통폐합되었고 청하면은 지금도 남아 있다)였다. 정선이 58살 되던 1733년 청하 현감에 제수되어 1734년까지 청하에 머무르면서 그림을 그렸는데 국보 217호인 ‘금강전도’가 이 시기의 작품이었다. 금강산을 다녀온 지 20년이 지나 기억에 의존하면서 그린데다가 비행기가 없던 시절이었음에도 공중에서 새가 내려다본 듯한 부감시로 그렸다. 있는 그대로를 그린다기보다는 당시의 감흥을 전달하는 데 더 주력한 것이다. 그래서 정선을 선경형 진경산수화의 대표주자라고 말한다.

 

간송의 전시회는 지난 주에 막을 내렸지만 더 큰 규모의 전시가 아직 열리고 있는 곳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가을-유물 속 가을이야기’라는 제목의 전시가 열리고 있는데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회화, 항아리 등 유물 중에 가을을 테마로 한 작품 140여점을 모아서 보여주고 있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 속에서도 이 가을을 만끽할 수 있고 간송과 달리 널찍한 공간에서 여유있게 감상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박물관 열린마당으로 오르는 계단에는 정수영(1743~1831)이 금강산을 여행하면서 그린 해산첩을 대형으로 그려두어 시선을 끌었다. 관람객들이 편하게 금강을 오르기도 하고 산허리에 철퍼덕 주저앉아 쉬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산수화와 관련된 전시를 홍보하는 데 있어 이만큼 좋은 아이디어가 또 있을까 싶다. 박물관의 재치가 돋보였다. 전시실 내부는 어두운 게 흠이다. 유물을 보호한다고 했지만 원본을 어둡게 두고 복사본을 같은 크기로 나란히 걸어두는 배려가 부족해서 아쉬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을이 완전히 가기 전에 ‘가을’과 만나러 가보자. 국립중앙박물관은 지하철 1, 4호선 이촌역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 

 

곽윤섭 한겨레 사진전문기자 kwak1027@hani.co.kr

 

*정선의 내연산 폭포 사진과 설명을 위해 포항시 공보관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금강전도(호암)정선.jpg

정선이 청하(지금의 경북 포항시)에서 현감으로 지낼때 그린 진경산수 걸작.

 

내연산삼용추1.jpg

이 그림 역시 정선이 청하현감 시절 그렸다. 경북 포항 인근 내연산에 있는 세 개의 폭포를 그린 것으로 위에서 부터 연산폭, 관음폭, 잠룡폭포다. 실제 이곳에선 이 그림과 같은 앵글을 찾을 수는 없다. 선경 산수화의 특징인 '다시점'이 바로 이런 것이다. 거리도 떨어져있고 보는 각도도 다르지만 하나의 그림 속에서 중간의 간격을 생략해버리고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주는 것이다.   

 

내연산 연산폭포.jpg

위 그림에서 가장 윗부분에 있는 연산폭의 현재 모습이다. 그림과 달리 연산폭과 관음폭은 앵글의 차이가 크다. 정선은 이 지역의 산수를 몹시 사랑해서 여러 그림으로 남겼다.

 

 

박물관2.jpg

박물관은 자체로 멋진 출사장소다.

 

박물관3.jpg

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가을' 전시회의 내부.

 

 

브루노.jpg

  브뤼노 바르베/매그넘 포토     

쌓인 눈으로 산을 가라앉혔고 안개로 도시를 눌렀고 앞의 꽃나무도 흐릿하게 처리되었다.

필요에 따라 톤을 눌러주는 작업을 한다는 점에서 사진가와 화가의 마음이 다르지 않다.

충무로 갤러리 M 에서 브뤼노 바르베의 사진을 만날 수 있다. 11월 17일까지.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강의실

천편일률적인 단체사진 탈출법

  • 곽윤섭
  • | 2008.12.18

사람들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모여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집을 구입해서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도 집마다 최소 ...

취재

사람이 없는 뉴스사진…보도사진이 달라졌어요

  • 곽윤섭
  • | 2008.12.16

  이집트 국경의 철망에 걸린 아프리카 소녀의 드레스- 요나단 웨이츠만 (이스라엘)  월드프레스포토0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

강의실

똑같은 사진도 작가가 찍으면 작품? [2]

  • 곽윤섭
  • | 2008.12.11

  작가와 아마추어는 다르다고? 사진마을 회원 ‘초보찍사’ 님이 질문을 보내왔습니다. 사진의 내용에 대해 묻는 것은 아니고 “작가와 아마추어...

강의실

인물사진 촬영때 동의 받는 건 필수

  • 곽윤섭
  • | 2008.12.04

   <강의실>의 제 글을 읽으신 dasto3118 님께서 덧글로 문제제기와 질문을 해오셨습니다.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 제기이므로 이 코너를 이용...

취재

갑사 가는 길 오렌지 카펫

  • 곽윤섭
  • | 2008.12.02

사진명소답사기⑧ 공주 일대-계룡산 갑사, 공산성 겨울을 앞둔 갑사에선 기와지붕 개량공사가 한창이다. 단풍 더하기 은행은? 정답은 주황색 융단이다...

취재

만지면 상상력이 춤춘다

  • 곽윤섭
  • | 2008.11.27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가 교육서 &lt;감각&gt;을 만져보고 있다. PHOTO STORY- 빛을 만지는 아이들 시민예술을 기반...

강의실

중간 점검-좋은 사진을 찍는 몇가지 방법

  • 곽윤섭
  • | 2008.11.24

각자에게 맞는 편안한 자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사진에 대한 이야기는 끝났습니다. 강의실을 연 지 아홉달이 지났고 그 동안 올린 글...

취재

일산 고수들 다 모였네

  • 곽윤섭
  • | 2008.11.13

목용균 일산디카마니아 사진전 사진 동호회 클럽 아이디엠(Club IDM:일산디카마니아)이 11월 9일부터 일산 웨스턴돔 이벤트 광장에서 사진전을 열...

취재

이게 중학생의 사진이라고?

  • 곽윤섭
  • | 2008.11.11

언북중학교 사진반 학생들이 과천 서울랜드를 찾았다. V라인 포즈를 요구했는데 왼쪽에 있는 지도교사 최태원 선생님과 그 옆의 교장 이신우 선생...

강의실

최고의 모델은 가까운 곳에

  • 곽윤섭
  • | 2008.11.05

엄정미   가족은 가장 훌륭한 인물사진 모델 지금까지 인물을 찍어보자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굴 찍어야 하는 것일까요? 사진동호회에...

취재

금강을 밟아보자-유물로 보는 선조들의 가을 이야기

  • 곽윤섭
  • | 2008.10.28

[국립중앙박물관 가을 테마전] 계단에 정수영의 해산첩-집선봉을 그려두었다. 멀리서 보면 금강산의 절경이 그대로 보인다. 산수화는 산과 물, 나...

취재

영남대 산책로의 가을이 예술이네

  • 곽윤섭
  • | 2008.10.24

곽윤섭의 사진명소 답사기 ⑦ 영남대 산책로와 몇 곳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대구사진비엔날레가 열린다. 10개국 200여 작가의 사진...

취재

이 저녁에 그의 사진이 깊어져간다

  • 곽윤섭
  • | 2008.10.13

김천,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강운구 사진전-'저녁에' 한국을 대표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가 강운...

강의실

인물사진 찍기 전 마음을 열어야

  • 곽윤섭
  • | 2008.10.06

한겨레 21 커버스토리를 위해 제가 찍은 한비야씨입니다. ‘작업’을 걸듯 이야기를 나눠보자 인물사진엔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특히 모델이 자기...

취재

가을 선운사 꽃무릇 불꽃놀이

  • 곽윤섭
  • | 2008.09.25

곽윤섭의 사진명소답사기⑥ 고창 선운사 꽃무릇길 그동안 주로 사시사철 언제 찾더라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다. 그런 곳은 지형이나 ...

강의실

인물사진, 프로사진작가만 찍을쏘냐? [1]

  • 곽윤섭
  • | 2008.09.24

이 사진을 찍은 생활사진가는 가장 편한 모델로 조카를 선택했다. 이불에 슬쩍 던져두자 즐거워하는 순간이다. 사진가와 모델 사이에 신뢰가 넘치...

취재

사진인가 그림인가…장르 파괴의 생생 현장

  • 곽윤섭
  • | 2008.09.19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 작 ‘갈채’ 한국국제아트페어에서 본 현대미술의 단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2008)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

강의실

사진찍기의 첫 걸음은 인물로부터 [2]

  • 곽윤섭
  • | 2008.09.19

무엇을 찍을 것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를 해봤습니다. 사진용어로 이야기하자면 ’다양한 앵글...

취재

일본인 눈에 비친 1965년의 청계천 풍경

  • 곽윤섭
  • | 2008.09.11

‘구와바라 시세이_청계천 사진전’ 일본의 유명 원로사진가 중엔 ‘매그넘코리아’에 참가했던 일본 유일의 매그넘 회원 구보타 히로지(69)가 있고 ...

강의실

보자마자 우선 ‘찰칵’…다가가서 다시 한 컷

  • 곽윤섭
  • | 2008.09.09

고양이 눈높이에서 ② 취재 때문에 흔히 ‘길냥이’라고 불리는 거리의 고양이들을 찍을 일이 있었습니다. 밤이 이슥한 퇴근길에 몇차례나 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