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저녁에 그의 사진이 깊어져간다

곽윤섭 2008. 10. 13
조회수 10014 추천수 0

 

001-kangphoto_03-25.jpg

김천,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강운구 사진전-'저녁에'

 

한국을 대표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가 강운구의 사진이 더 깊어지고 있다. 처음 전시장을 둘러봤을 땐 낯선 느낌까지 들 정도였는데 한 번을 더 살펴보고 작가와 대화를 나누면서 많은 부분이 해소되긴 했지만 첫 충격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었다. 한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사진전 ‘저녁에’는 모두 114점의 사진이 걸려있다. 2001년 개인전 ‘마을 삼부작’이후 7년만이다. 부지런하기 짝이 없는 그의 활동에 비하면 발표가 너무 뜸하다는 생각이 들만도 한다. 그만큼 전시의 내용이 충실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는 이번 전시에 걸 사진을 직접 인화했다. 마음에 드는 사진이 나올 때까지 여러차례 깐깐하게 작업을 반복했다고 한다. 전시장의 동선과 사진 배치도 본인이 직접 했다. 크게 인화한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는데 그는 이렇게 말했다.

 

“줄여서 이야기해도 최소 2~3년씩 노력한 작업들인데 한 작품 당 30초도 안보고 지나가버리면 너무 허무할 것 같았다. 크다고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작다고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작게 붙인 사진은 멀리서는 못보니 한 발 더 가까이 와서 정성껏 관람해달라는 작가의 주문이 들어있는 것이다.”

 

사진은 연속사진, 그림자, 흙과 땅 세 가지 파트로 나눠 전시되고 있다. ‘그림자’ 에선 작가의 그림자나 반영이 들어있는 사진이 일곱 장 있다. 다큐멘터리사진에선 좀처럼 볼 수 없는 일이다. “예전엔 프레임에 내 그림자가 있으면 실수라고 생각하고 빼려고 노력했다. 그랬는데 이번엔 일부러 넣었다. 해가 머리위에 있을 땐 안보이더니 저녁이 되니까 그림자가 길게 늘어지는 게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세상을 기록하기 위해 바깥으로만 돌아다니다가 이제 슬슬 내면을 돌보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다. 전에 없이 사람이 들어있지 않은 풍경사진도 많아졌는데 사진 안하는 친구들이 “사진 많이 예뻐졌다. 편해졌다”라고 했다는 이야길 전하며 아이같이 수줍은 미소를 보였다.

 

‘저녁에’는 전시작 대부분이 늦은 오후 혹은 저녁에 찍은 것이라는 직접적 의미와 함께 어느덧 작가의 인생이 저녁에 도달했다는 뜻도 있다고 작가 본인이 주장했다. 하지만 그런 외형적인 면보다는 작가의 사진세계가 더 깊어졌다는 뉘앙스가 가장 강하다. 곱게 갈아놓은 밭이나 논 위에 농부의 발자국을 담은 사진 또한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예전엔 들에서 일하는 모습을 직접 표현했었는데 어느 순간 발자국만으로도 농부의 땀을 읽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다.

 

사진을 공부하는 생활사진가들을 위한 조언을 부탁했다.

 

“정말 좋아하는 대상을 찍어라. 유행하는 스타일이나 사진선생의 주문을 따라하지 말고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대상을 찍어야 한다. 그게 없다면 그만 두는 것이 좋다”

 

사진의 변형이나 해체, 합성을 이용한 현대사진의 트렌드에 대해 의견을 물었다.

 

“그런 사진들이 예술이 아니라고 할 수가 없다. 그 분들의 길을 존중한다. 다만 나의 길과 그분들의 길이 만날 일은 없겠다”

 

한미미술관은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 2번출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다. 전시는 12월 6일까지 열리며 11월 8일에 작가와의 만남이 예정되어있다.

 

곽윤섭 한겨레 사진전문기자 kwak1027@hani.co.kr

 

강운구02.jpg

10월 11일 열린 '작가와의 만남' 에서 작가가 자신의 사진세계를 설명하고 있다.

 

002-KangPhoto_02-08.jpg

정읍,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003-KangPhoto_02-25.jpg

 남해,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004-KangPhoto_02-26.jpg

 순창, 2008,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005-KangPhoto_02-27.jpg

거제, 2008,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강의실

천편일률적인 단체사진 탈출법

  • 곽윤섭
  • | 2008.12.18

사람들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모여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집을 구입해서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도 집마다 최소 ...

취재

사람이 없는 뉴스사진…보도사진이 달라졌어요

  • 곽윤섭
  • | 2008.12.16

  이집트 국경의 철망에 걸린 아프리카 소녀의 드레스- 요나단 웨이츠만 (이스라엘)  월드프레스포토0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

강의실

똑같은 사진도 작가가 찍으면 작품? [2]

  • 곽윤섭
  • | 2008.12.11

  작가와 아마추어는 다르다고? 사진마을 회원 ‘초보찍사’ 님이 질문을 보내왔습니다. 사진의 내용에 대해 묻는 것은 아니고 “작가와 아마추어...

강의실

인물사진 촬영때 동의 받는 건 필수

  • 곽윤섭
  • | 2008.12.04

   <강의실>의 제 글을 읽으신 dasto3118 님께서 덧글로 문제제기와 질문을 해오셨습니다.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 제기이므로 이 코너를 이용...

취재

갑사 가는 길 오렌지 카펫

  • 곽윤섭
  • | 2008.12.02

사진명소답사기⑧ 공주 일대-계룡산 갑사, 공산성 겨울을 앞둔 갑사에선 기와지붕 개량공사가 한창이다. 단풍 더하기 은행은? 정답은 주황색 융단이다...

취재

만지면 상상력이 춤춘다

  • 곽윤섭
  • | 2008.11.27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가 교육서 &lt;감각&gt;을 만져보고 있다. PHOTO STORY- 빛을 만지는 아이들 시민예술을 기반...

강의실

중간 점검-좋은 사진을 찍는 몇가지 방법

  • 곽윤섭
  • | 2008.11.24

각자에게 맞는 편안한 자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사진에 대한 이야기는 끝났습니다. 강의실을 연 지 아홉달이 지났고 그 동안 올린 글...

취재

일산 고수들 다 모였네

  • 곽윤섭
  • | 2008.11.13

목용균 일산디카마니아 사진전 사진 동호회 클럽 아이디엠(Club IDM:일산디카마니아)이 11월 9일부터 일산 웨스턴돔 이벤트 광장에서 사진전을 열...

취재

이게 중학생의 사진이라고?

  • 곽윤섭
  • | 2008.11.11

언북중학교 사진반 학생들이 과천 서울랜드를 찾았다. V라인 포즈를 요구했는데 왼쪽에 있는 지도교사 최태원 선생님과 그 옆의 교장 이신우 선생...

강의실

최고의 모델은 가까운 곳에

  • 곽윤섭
  • | 2008.11.05

엄정미   가족은 가장 훌륭한 인물사진 모델 지금까지 인물을 찍어보자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굴 찍어야 하는 것일까요? 사진동호회에...

취재

금강을 밟아보자-유물로 보는 선조들의 가을 이야기

  • 곽윤섭
  • | 2008.10.28

[국립중앙박물관 가을 테마전] 계단에 정수영의 해산첩-집선봉을 그려두었다. 멀리서 보면 금강산의 절경이 그대로 보인다. 산수화는 산과 물, 나...

취재

영남대 산책로의 가을이 예술이네

  • 곽윤섭
  • | 2008.10.24

곽윤섭의 사진명소 답사기 ⑦ 영남대 산책로와 몇 곳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대구사진비엔날레가 열린다. 10개국 200여 작가의 사진...

취재

이 저녁에 그의 사진이 깊어져간다

  • 곽윤섭
  • | 2008.10.13

김천,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강운구 사진전-'저녁에' 한국을 대표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가 강운...

강의실

인물사진 찍기 전 마음을 열어야

  • 곽윤섭
  • | 2008.10.06

한겨레 21 커버스토리를 위해 제가 찍은 한비야씨입니다. ‘작업’을 걸듯 이야기를 나눠보자 인물사진엔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특히 모델이 자기...

취재

가을 선운사 꽃무릇 불꽃놀이

  • 곽윤섭
  • | 2008.09.25

곽윤섭의 사진명소답사기⑥ 고창 선운사 꽃무릇길 그동안 주로 사시사철 언제 찾더라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다. 그런 곳은 지형이나 ...

강의실

인물사진, 프로사진작가만 찍을쏘냐? [1]

  • 곽윤섭
  • | 2008.09.24

이 사진을 찍은 생활사진가는 가장 편한 모델로 조카를 선택했다. 이불에 슬쩍 던져두자 즐거워하는 순간이다. 사진가와 모델 사이에 신뢰가 넘치...

취재

사진인가 그림인가…장르 파괴의 생생 현장

  • 곽윤섭
  • | 2008.09.19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 작 ‘갈채’ 한국국제아트페어에서 본 현대미술의 단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2008)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

강의실

사진찍기의 첫 걸음은 인물로부터 [2]

  • 곽윤섭
  • | 2008.09.19

무엇을 찍을 것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를 해봤습니다. 사진용어로 이야기하자면 ’다양한 앵글...

취재

일본인 눈에 비친 1965년의 청계천 풍경

  • 곽윤섭
  • | 2008.09.11

‘구와바라 시세이_청계천 사진전’ 일본의 유명 원로사진가 중엔 ‘매그넘코리아’에 참가했던 일본 유일의 매그넘 회원 구보타 히로지(69)가 있고 ...

강의실

보자마자 우선 ‘찰칵’…다가가서 다시 한 컷

  • 곽윤섭
  • | 2008.09.09

고양이 눈높이에서 ② 취재 때문에 흔히 ‘길냥이’라고 불리는 거리의 고양이들을 찍을 일이 있었습니다. 밤이 이슥한 퇴근길에 몇차례나 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