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선운사 꽃무릇 불꽃놀이

곽윤섭 2008. 09. 25
조회수 12519 추천수 0

곽윤섭의 사진명소답사기⑥

 

고창 선운사 꽃무릇길

 

선운사꽃무릇003-진.jpg

 

그동안 주로 사시사철 언제 찾더라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다. 그런 곳은 지형이나 구조물 자체의 특징이 있었기 때문에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나름대로 특색있는 한 장의 사진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선운사도 철 따라 언제나 볼 것이 있긴 하지만 꽃을 테마로 생각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서정주와 김용택의 시에서도  등장하지만 그보단 송창식의 노랫말이 먼저 떠오르는 선운사 동백꽃은 4월 중순에 볼 수 있다. 해마다 가을 선운사에선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꽃무릇이 지천이다. 대략 9월20일께를 전후해서 절입구 관광안내소부터 도솔암에 이르는 3킬로미터 가량의 길과 개울가와 꽃밭에 수도 없이 꽃대가 올라와 펑펑 꽃을 피워올린다. 실처럼 늘어지는 불꽃놀이를 보면서 실국화를 연상하곤 했는데 꽃무릇 밭이야말로 시뻘건 불꽃에 다름아니었다. 꽃무릇이 저렇게도 붉은 이유는 잎 하나 없이 달랑 꽃을 피워낸 꽃대가 선명한 녹색이라 선명한 대비를 보이는 덕도 크다. 후보정을 습관처럼 하는 사진가라고 하더라도 이 상황에서 더 무엇을 만질까 싶다. 십여분 렌즈를 통해 바라보기만 했는데도 후보정 프로그램 ‘색조정’ 에서 붉은 색을 몇 번이나 마우스질한 것 같은 착각이 들어 깜짝 놀랐다. 한두 군데만 핀 것이 아니니 자리다툼을 하면서 렌즈를 들이댈 필요가 없어 좋다. 꽃송이만큼 많은 사진가들이 저마다 이곳저곳 쭈그리고 앉아서 꽃과 씨름한다. 어떤 이는 짙은 초록색 이끼 가득한 나무를 배경으로, 또 어떤 이들은 개울물을 배경으로 꽃무릇을 담고 있었다.

 

관광안내소에서 만난 문화관광해설사 강신교(61)씨는 “지난해엔 사진작가 2천여명 정도가 모델 출사를 위해 이곳을 찾았는데 간혹 꽃밭 속으로 들어간 탓에 금년도엔 (꽃밭에) 군데군데 빈 곳이 보인다” 며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눈으로만 감상해주시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한 송이 속의 우주를 보려면 접사렌즈가 있어야겠지만 무리를 지은 모양새를 보겠다면 번들렌즈로도 아무 지장이 없다. 산사음악회가 열리는 9월27일까지는 풍성한 꽃무릇을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한다. 동백과 꽃무릇의 꽃피는 시기는 해마다 조금씩 다를 것이며 가장 정확한 정보는 선운사 누리집 http://www.seonunsa.org/ 에서 찾을 수 있다. 

 

 

선운사꽃무릇002.jpg

 

선운사꽃무릇004.jpg

 

선운사꽃무릇005.jpg

 

선운사꽃무릇007.jpg

 

선운사꽃무릇008.jpg

 

선운사꽃무릇009.jpg


 

 

글·사진/곽윤섭 한겨레 사진전문기자 kwak1027@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강의실

천편일률적인 단체사진 탈출법

  • 곽윤섭
  • | 2008.12.18

사람들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모여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집을 구입해서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도 집마다 최소 ...

취재

사람이 없는 뉴스사진…보도사진이 달라졌어요

  • 곽윤섭
  • | 2008.12.16

  이집트 국경의 철망에 걸린 아프리카 소녀의 드레스- 요나단 웨이츠만 (이스라엘)  월드프레스포토0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

강의실

똑같은 사진도 작가가 찍으면 작품? [2]

  • 곽윤섭
  • | 2008.12.11

  작가와 아마추어는 다르다고? 사진마을 회원 ‘초보찍사’ 님이 질문을 보내왔습니다. 사진의 내용에 대해 묻는 것은 아니고 “작가와 아마추어...

강의실

인물사진 촬영때 동의 받는 건 필수

  • 곽윤섭
  • | 2008.12.04

   <강의실>의 제 글을 읽으신 dasto3118 님께서 덧글로 문제제기와 질문을 해오셨습니다.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 제기이므로 이 코너를 이용...

취재

갑사 가는 길 오렌지 카펫

  • 곽윤섭
  • | 2008.12.02

사진명소답사기⑧ 공주 일대-계룡산 갑사, 공산성 겨울을 앞둔 갑사에선 기와지붕 개량공사가 한창이다. 단풍 더하기 은행은? 정답은 주황색 융단이다...

취재

만지면 상상력이 춤춘다

  • 곽윤섭
  • | 2008.11.27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가 교육서 &lt;감각&gt;을 만져보고 있다. PHOTO STORY- 빛을 만지는 아이들 시민예술을 기반...

강의실

중간 점검-좋은 사진을 찍는 몇가지 방법

  • 곽윤섭
  • | 2008.11.24

각자에게 맞는 편안한 자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사진에 대한 이야기는 끝났습니다. 강의실을 연 지 아홉달이 지났고 그 동안 올린 글...

취재

일산 고수들 다 모였네

  • 곽윤섭
  • | 2008.11.13

목용균 일산디카마니아 사진전 사진 동호회 클럽 아이디엠(Club IDM:일산디카마니아)이 11월 9일부터 일산 웨스턴돔 이벤트 광장에서 사진전을 열...

취재

이게 중학생의 사진이라고?

  • 곽윤섭
  • | 2008.11.11

언북중학교 사진반 학생들이 과천 서울랜드를 찾았다. V라인 포즈를 요구했는데 왼쪽에 있는 지도교사 최태원 선생님과 그 옆의 교장 이신우 선생...

강의실

최고의 모델은 가까운 곳에

  • 곽윤섭
  • | 2008.11.05

엄정미   가족은 가장 훌륭한 인물사진 모델 지금까지 인물을 찍어보자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굴 찍어야 하는 것일까요? 사진동호회에...

취재

금강을 밟아보자-유물로 보는 선조들의 가을 이야기

  • 곽윤섭
  • | 2008.10.28

[국립중앙박물관 가을 테마전] 계단에 정수영의 해산첩-집선봉을 그려두었다. 멀리서 보면 금강산의 절경이 그대로 보인다. 산수화는 산과 물, 나...

취재

영남대 산책로의 가을이 예술이네

  • 곽윤섭
  • | 2008.10.24

곽윤섭의 사진명소 답사기 ⑦ 영남대 산책로와 몇 곳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대구사진비엔날레가 열린다. 10개국 200여 작가의 사진...

취재

이 저녁에 그의 사진이 깊어져간다

  • 곽윤섭
  • | 2008.10.13

김천,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강운구 사진전-'저녁에' 한국을 대표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가 강운...

강의실

인물사진 찍기 전 마음을 열어야

  • 곽윤섭
  • | 2008.10.06

한겨레 21 커버스토리를 위해 제가 찍은 한비야씨입니다. ‘작업’을 걸듯 이야기를 나눠보자 인물사진엔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특히 모델이 자기...

취재

가을 선운사 꽃무릇 불꽃놀이

  • 곽윤섭
  • | 2008.09.25

곽윤섭의 사진명소답사기⑥ 고창 선운사 꽃무릇길 그동안 주로 사시사철 언제 찾더라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다. 그런 곳은 지형이나 ...

강의실

인물사진, 프로사진작가만 찍을쏘냐? [1]

  • 곽윤섭
  • | 2008.09.24

이 사진을 찍은 생활사진가는 가장 편한 모델로 조카를 선택했다. 이불에 슬쩍 던져두자 즐거워하는 순간이다. 사진가와 모델 사이에 신뢰가 넘치...

취재

사진인가 그림인가…장르 파괴의 생생 현장

  • 곽윤섭
  • | 2008.09.19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 작 ‘갈채’ 한국국제아트페어에서 본 현대미술의 단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2008)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

강의실

사진찍기의 첫 걸음은 인물로부터 [2]

  • 곽윤섭
  • | 2008.09.19

무엇을 찍을 것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를 해봤습니다. 사진용어로 이야기하자면 ’다양한 앵글...

취재

일본인 눈에 비친 1965년의 청계천 풍경

  • 곽윤섭
  • | 2008.09.11

‘구와바라 시세이_청계천 사진전’ 일본의 유명 원로사진가 중엔 ‘매그넘코리아’에 참가했던 일본 유일의 매그넘 회원 구보타 히로지(69)가 있고 ...

강의실

보자마자 우선 ‘찰칵’…다가가서 다시 한 컷

  • 곽윤섭
  • | 2008.09.09

고양이 눈높이에서 ② 취재 때문에 흔히 ‘길냥이’라고 불리는 거리의 고양이들을 찍을 일이 있었습니다. 밤이 이슥한 퇴근길에 몇차례나 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