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인가 그림인가…장르 파괴의 생생 현장

곽윤섭 2008. 09. 19
조회수 8844 추천수 0

 

9Q6J3504.jpg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 작  ‘갈채’



한국국제아트페어에서 본 현대미술의 단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2008)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2008년 행사엔 20개 나라 218개 화랑이 참가했다. 참가 작가 수가 1500여명,작품 수가 6,000여점이나 되는 대규모 행사다. 회화, 조각, 판화, 사진 등 미술의 모든 분야가 총망라돼 있어 현대미술의 흐름을 한눈에 보기에 좋은 기회다.

 

218개 화랑 작품들 중에서 사진을 중심으로 소개를 하기 위해 인도양홀과 태평양홀을 넘나들면서 발품을 팔았다.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사진의 개념과 정의가 모호한 시대가 왔다는 것이다. 사진 형식의 파괴야 하루 이틀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방식이 갈수록 다양해진다는 점에선 나날이 새롭다고 할 수 있겠다. 사진과 회화, 사진과 설치 미술의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있어서 뭐라고 불러야 할지 난감했다. 그림이냐 사진이냐 아니면 조각이냐고 물어봤으나 곧 부질없다는 기분이 들었다. 그냥 뭉뚱그려  ‘작품’이라고 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아무리 사진이 변한다고 해도 사진의 기본원리나 속성이 변할 순 없다. 있는 그대로를 전달한다는 면에서는 회화나 판화는 사진과 같을 수가 없다. 그런 면에서 접근하면 회화나 설치미술의 작가들이 왜 사진을 즐겨 받아들이는지(혹은 즐겨 이용하는지) 이해할 수가 있다. 사진 발명의 역사를 보면 카메라 옵스큐라를 스케치 도구로 사용했던 시절이 있으며 당시 이런 필요성이 사진의 발명을 앞당기는데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것이다. 마침내 사진의 발명이 공인(이미지를 어딘가에 정착시키는 것)되자 화가들에게서 ‘회화의 시대가 끝났다’는 탄식이 나왔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졌다. 아무리 정밀하게 그려도 사진을 따라갈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로부터 170여년이 지난 지금 사진과 회화(설치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는 역설적인 길을 걷고 있다. 정밀하게 그리려는 노력이 덧없어진 화가들은 추상의 세계로 나가기 시작했다. 그쪽은 사진에 맡기고(경쟁자체가 되질 않으니 맡긴다기 보다는 피한 것이다) 활로를 개척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림같은 사진, 실제같은 사진, 그리고 ‘그냥 사진’

 

한편 사진은 그 초기 단계부터 연출과 합성의 유혹에 직면했다. (고지식한) 사진은 있는 그대로를 묘사할 수밖에 없다는 속성이 고스란히 한계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연극무대의 배우들 마냥 사진속 등장인물의 동작과 위치를 지정하고 사진을 찍는 기법이 등장한 것도 초기였고 채 100년이 지나기도 전에 갖가지 변형이 시도되었던 것이다. 디지털시대를 맞아 포토샵을 통한 사진의 변형이 신출귀몰해지기 전에도 사진을 이용한 변형은 존재해왔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주요 관심 분야가 먼저 눈에 들어오기 마련이다. 이런 생각들을 하면서 전시장을 둘러보니 사진처럼 보이는 것에 먼저 시선이 갔다. 어번아트(UrbanArt)화랑에서 출품한 김준의 디지털프린팅 작품들은 멀리서 보나 가까이서 보나 바디페인팅을 한 모델을 찍은 사진처럼 보였다. 그러나 실체는 컴퓨터를 이용해 마우스로 그려낸 디지털이미지다.

 

바로 맞은편에 전시되고 있는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의 작품 ‘갈채’도 사진을 이용한 것이다. 스테인레스 스틸 위에 사진이미지를 전사하여 거울처럼 벽에 세웠다. 이 작품을 감상하려면 바로 앞에 설 수밖에 없고 필히 관객의 모습이 작품의 일부로 포함될 수밖에 없다. 사진은 거울과 같은 측면이 있으니 기법뿐 아니라 작품의 속성까지 사진을 떠나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요시아키 이노우에 화랑에선 그림같은 사진과 사진같은 그림을 만났다. 히사야 타이라의 작품은 그림인데 현장을 사진으로 찍어와 거의 완벽히 똑같은 장면을 그림으로 그려 작품으로 만들어냈다. 3미터 거리에선 도저히 그림인지 사진인지 알 수가 없었다. 바로 옆에 걸려 있는 토시오 시바타의 작품은 사진인데 1미터 앞에서 봐도 그림처럼 보였다. 물론 아무런 후보정을 하지 않고 그냥 사진의 속성을 유지했는데도 그렇다는 뜻이다. 혼란스러웠다.

 

전시장엔 “그냥 사진”도 있다.  김영섭화랑, 갤러리뤼미에르 등에서 걸고 있는 사진들을 보니 반갑기까지 했다. 윌리호니스, 앙리 카르띠에 브레송, 임영균 등의 낯익은 사진 작품을 보면서 마음이 편해졌다.
 
"아, 여기서도 보네" 반갑다 매그넘

 

매그넘 작가들의 작품들도 대거 판매되고 있다. 갤러리나우에선 아리 그뤼에르, 토마스 횝커 등 매그넘코리아에서 인기몰이를 했던 작가들의 유명한 사진들도 여럿 걸려 있고 베르너 비숍, 엘리엇 어윗 등의 과거 작품도 만날 수 있다. 스티브 매커리의 ‘아프간소녀’는 두곳의 갤러리에서 판매 중인데 크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한정판은 7천7백만원에 거래된다고 한다.

 

사진이든 사진을 이용한 그 무엇이든 사진의 변화를 지켜보는 것은 유익했다. 사진의 장점 때문에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미술작품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되려 “손대지 않은” 그냥 사진의 가치가 더 높아보이기도 했다. 한편으로 그런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여러 가지 사진을 만나보는 일은 충분히 의미있는 일이다.

 

한국국제아트페어는 23일까지만 열린다. 몇몇 화랑을 제외하면 대체로 사진촬영이 허용되고 있었다. http://www.kiaf.org/ 

 

9Q6J3510.jpg

       그림같은 사진- 토시오 시바타 작  치치부시- '댐'

 

9Q6J3514.jpg

사진같은 그림- 히사야 타이라 작품


 

9Q6J3503.jpg

디지털 프린팅- 김준

 

 

9Q6J3499.jpg

백남준을 기록한 임영균의 작품들

 

 

9Q6J3488.jpg

스티브 매커리-아프간 소녀- 30인치X 20인치 작품으로 총 30개의 한정수량 중 6번째

 

 

9Q6J3479.jpg

나우갤러리에선 매그넘코리아의 사진과 함께 매그넘 작가들의 예전 명작도 있다.


곽윤섭 한겨레 사진전문기자 kwak1027@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강의실

천편일률적인 단체사진 탈출법

  • 곽윤섭
  • | 2008.12.18

사람들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모여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집을 구입해서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도 집마다 최소 ...

취재

사람이 없는 뉴스사진…보도사진이 달라졌어요

  • 곽윤섭
  • | 2008.12.16

  이집트 국경의 철망에 걸린 아프리카 소녀의 드레스- 요나단 웨이츠만 (이스라엘)  월드프레스포토0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

강의실

똑같은 사진도 작가가 찍으면 작품? [2]

  • 곽윤섭
  • | 2008.12.11

  작가와 아마추어는 다르다고? 사진마을 회원 ‘초보찍사’ 님이 질문을 보내왔습니다. 사진의 내용에 대해 묻는 것은 아니고 “작가와 아마추어...

강의실

인물사진 촬영때 동의 받는 건 필수

  • 곽윤섭
  • | 2008.12.04

   <강의실>의 제 글을 읽으신 dasto3118 님께서 덧글로 문제제기와 질문을 해오셨습니다.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 제기이므로 이 코너를 이용...

취재

갑사 가는 길 오렌지 카펫

  • 곽윤섭
  • | 2008.12.02

사진명소답사기⑧ 공주 일대-계룡산 갑사, 공산성 겨울을 앞둔 갑사에선 기와지붕 개량공사가 한창이다. 단풍 더하기 은행은? 정답은 주황색 융단이다...

취재

만지면 상상력이 춤춘다

  • 곽윤섭
  • | 2008.11.27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소년의 집 교사가 교육서 &lt;감각&gt;을 만져보고 있다. PHOTO STORY- 빛을 만지는 아이들 시민예술을 기반...

강의실

중간 점검-좋은 사진을 찍는 몇가지 방법

  • 곽윤섭
  • | 2008.11.24

각자에게 맞는 편안한 자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사진에 대한 이야기는 끝났습니다. 강의실을 연 지 아홉달이 지났고 그 동안 올린 글...

취재

일산 고수들 다 모였네

  • 곽윤섭
  • | 2008.11.13

목용균 일산디카마니아 사진전 사진 동호회 클럽 아이디엠(Club IDM:일산디카마니아)이 11월 9일부터 일산 웨스턴돔 이벤트 광장에서 사진전을 열...

취재

이게 중학생의 사진이라고?

  • 곽윤섭
  • | 2008.11.11

언북중학교 사진반 학생들이 과천 서울랜드를 찾았다. V라인 포즈를 요구했는데 왼쪽에 있는 지도교사 최태원 선생님과 그 옆의 교장 이신우 선생...

강의실

최고의 모델은 가까운 곳에

  • 곽윤섭
  • | 2008.11.05

엄정미   가족은 가장 훌륭한 인물사진 모델 지금까지 인물을 찍어보자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굴 찍어야 하는 것일까요? 사진동호회에...

취재

금강을 밟아보자-유물로 보는 선조들의 가을 이야기

  • 곽윤섭
  • | 2008.10.28

[국립중앙박물관 가을 테마전] 계단에 정수영의 해산첩-집선봉을 그려두었다. 멀리서 보면 금강산의 절경이 그대로 보인다. 산수화는 산과 물, 나...

취재

영남대 산책로의 가을이 예술이네

  • 곽윤섭
  • | 2008.10.24

곽윤섭의 사진명소 답사기 ⑦ 영남대 산책로와 몇 곳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대구사진비엔날레가 열린다. 10개국 200여 작가의 사진...

취재

이 저녁에 그의 사진이 깊어져간다

  • 곽윤섭
  • | 2008.10.13

김천, 2007, 셀레늄 착색하여 영구 보존 처리된 젤라틴 실버 프린트 ⓒ 강운구 강운구 사진전-'저녁에' 한국을 대표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가 강운...

강의실

인물사진 찍기 전 마음을 열어야

  • 곽윤섭
  • | 2008.10.06

한겨레 21 커버스토리를 위해 제가 찍은 한비야씨입니다. ‘작업’을 걸듯 이야기를 나눠보자 인물사진엔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특히 모델이 자기...

취재

가을 선운사 꽃무릇 불꽃놀이

  • 곽윤섭
  • | 2008.09.25

곽윤섭의 사진명소답사기⑥ 고창 선운사 꽃무릇길 그동안 주로 사시사철 언제 찾더라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다. 그런 곳은 지형이나 ...

강의실

인물사진, 프로사진작가만 찍을쏘냐? [1]

  • 곽윤섭
  • | 2008.09.24

이 사진을 찍은 생활사진가는 가장 편한 모델로 조카를 선택했다. 이불에 슬쩍 던져두자 즐거워하는 순간이다. 사진가와 모델 사이에 신뢰가 넘치...

취재

사진인가 그림인가…장르 파괴의 생생 현장

  • 곽윤섭
  • | 2008.09.19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 작 ‘갈채’ 한국국제아트페어에서 본 현대미술의 단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2008)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

강의실

사진찍기의 첫 걸음은 인물로부터 [2]

  • 곽윤섭
  • | 2008.09.19

무엇을 찍을 것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를 해봤습니다. 사진용어로 이야기하자면 ’다양한 앵글...

취재

일본인 눈에 비친 1965년의 청계천 풍경

  • 곽윤섭
  • | 2008.09.11

‘구와바라 시세이_청계천 사진전’ 일본의 유명 원로사진가 중엔 ‘매그넘코리아’에 참가했던 일본 유일의 매그넘 회원 구보타 히로지(69)가 있고 ...

강의실

보자마자 우선 ‘찰칵’…다가가서 다시 한 컷

  • 곽윤섭
  • | 2008.09.09

고양이 눈높이에서 ② 취재 때문에 흔히 ‘길냥이’라고 불리는 거리의 고양이들을 찍을 일이 있었습니다. 밤이 이슥한 퇴근길에 몇차례나 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