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이혜수, 한국사람입니다

곽윤섭 2009. 12. 31
조회수 10972 추천수 7
 
 
이 사진과 글은 사진가 이기태씨의 작품입니다. 아래쪽에 이기태씨에 대한 소개글이 있습니다.
 
[포토스토리] ‘과거 자신’ 돕는 이혜수씨
베트남서 시집와 고생만…이혼 뒤 순댓국장사 
이주노동자 언어 장벽 허물며 마음 소통 도와
 
 
 
경기도 수원 화서동에서 화서순대국 식당을 운영하는 한국사람 이혜수(35).
 
이혜수씨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태어난 베트남계 한국인이다. 한국에 온 지 15년이 됐다. 물론 국제결혼을 해 한국으로 왔다. 그녀의 결혼 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 믿고 결혼했던 한국 남자는 경제적 능력이 없었다. 그녀에게 돌아온 것은 폭력과 경제적 부담감뿐이었다. 이내 합의이혼을 했다. 지금은 딸 혜림이와 함께 수원에서 살고 있다. 전세로 살고 있는 그녀의 집은 이층이다. 1층에 순댓국밥 식당이고, 둘은 2층 ‘베트남의 집’이라는 주거생활을 겸한 사무실이다.
 
화서순대국은 일용직노동자 한국인들의 쉼터다.
 
순대공장에 다니던 게 인연이 되어 순댓국밥 식당에서 일했다. 억척스럽게 일하며 한국사람의 입맛과 한국말을 익혔다. 그런 경력으로 지금은 직접 순대와 김치 등을 만들어 이혜수식 순댓국밥집 ‘화서순대국’을 운영하고 있다. 맛은 한국의 맛 그대로다. 맛있다는 이유로,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손님이 많다는 이유로, 지역 주민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곤 한다. 그렇게 2~3년이 흘렀다. 생계수단인 순댓국밥집을 찾는 이들 역시 생계형 일용직 노동자가 대부분이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사람들이 한 잔의 막걸리를 마시는 쉼터가 된 셈이다.


1.jpg

 
2.jpg

 
3.jpg

 
4.jpg


Untitled-5 copy.jpg

 
6.jpg

 
7.jpg

 
8.jpg

1층 순댓국식당도 2층 집도 약자들의 ‘쉼터’
 
베트남의 집은 이혜수의 꿈이다.
 
그녀의 꿈은 개인적이기보다 사회적이다. 과거 자신에게 늘 필요로 했던 것들을 남들에게 나누는 일을 하고 싶다. 과거 자신과 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들을 돕고 싶다. 한국말이 서툴렀을 당시 가장 필요로 했던 건 언어표현 능력이었다. 한국말을 못해서 오는 수많은 오해와 갈등을 겪으며 한국말을 빨리 잘 배워야겠다고 느꼈다. 돈을 벌러 일하러 가야 하는데 아이를 맡길 곳이 없었던 상황을 생각하면 아찔하기까지 하다.
 
이혜수씨는 수원 화서동 성당 이주노동 사목 엠마우스(EMMAUS)에서 1주일에 3번 한글교실을 돕고 있다. 2차례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통역을 하고, 주일인 일요일에는 베트남 초급반 한글교실에서 역시 수업을 돕는 통역을 한다. 통역은 이혜수씨가 꿈을 실현하는 무기다. 수원종합고용안정센터에서 1주일에 2번 베트남 구직자들과 사업장을 엮어주는 취업상담을 하고 있다.
 
그녀의 꿈은 현실이 되고 있다.
 
그녀가 사는 전셋집 ‘베트남의 집’을 통해 그녀의 꿈의 일부를 알아차릴 수 있다. 소소하지만 행복한 꿈이다. 책상 하나뿐이다. 창문에는 ‘이주여성문화’란 글자가 쓰여 있다. 그의 꿈이 그것이다. ‘베트남의 집’은 국제결혼을 해 이주해온 여성들과 일하러 한국에 온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소박하고 조그만 쉼터다. 일하고 싶어하는 이주여성 주부들을 위한 보육 지원 혹은 탁아시설을 겸한 이주여성 복지센터를 만들고 싶다.
 
사진, 글 / 이기태
 
이기태: 대학에서 시를 전공하고 낯선 향기를 담아 그 향기를 사진으로 전하고자 하는 사람입니다. 현재 EPA(european pressphoto agency) 사진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9.jpg

 
10.jpg

 
11.jpg

 
Untitled-11 copy.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취재

사진의 주인은 '찍힌 사람들'

  • 곽윤섭
  • | 2010.02.03

주영욱 인도에서 찍은 사진을 되돌려주러가는 주영욱씨 전문 사진작가가 아닌 주영욱(49·한국마크로밀코리아 대표)씨는 4일 인도 바라나시로 사진전을...

취재

낯선 땅에서 빛으로 쓴 시, 마음 찰칵

  • 곽윤섭
  • | 2010.01.29

사진전 연 시인 박노해 중동 분쟁지역 돌며 찍은 4만 컷 중 37장 전시 가까이 더 가까이, 아이들 울음소리까지 쟁쟁  1991년 3월12일 ‘노동의 ...

취재

‘버려졌기에’ 아름다운 대륙 눈앞에서 영화로…

  • 곽윤섭
  • | 2010.01.18

‘다큐멘터리 사진 전설’ 살가도의 아프리카전 리뷰 2012년 전시 ‘살아남은 자연’ 제네시스 미리 맛봐 대형 프린트 100장엔 ‘사회 문제’ 섬세하...

사진책

윤미네 집-복간

  • 곽윤섭
  • | 2010.01.07

<윤미네 집>구매하러가기 복간된 '윤미네 집' 전몽각선생의 사진집 '윤미네 집'이 20년 만에 복간됐다. 지난 1990년 전몽각씨의 동명사진전 '윤미네...

전시회

박노해 첫 사진전 ‘라 광야’전

  • 곽윤섭
  • | 2010.01.06

이라크,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의 첨예한 분쟁 현장에서, 인류 문명의 시원지 알자지라와 쿠르디스탄에서, 카메라를 든 ‘사진가 박노해’를 만납니...

전시회

세바스티앙 살가도 ‘아프리카’전

  • 곽윤섭
  • | 2010.01.06

▲ 루에나시 교외의 학교. 학생 각자가 의자 대용의 물건을 가지고 온다. 앙골라, 1997. 다큐멘터리 사진계의 살아있는 전설인 세바스티앙 살가도...

취재

제사상에 김치? 아차! 족집게 편집자에 ‘꾸벅’

  • 곽윤섭
  • | 2010.01.05

한겨레 섹션 ‘건강 2.0’ 사진취재 후기 (3) 부랴부랴 후보정…자칫 ‘대형사고’ 터질뻔 같은 값이면 맛있게, 예쁜 그릇 빌려 ‘찰칵’ 9월1일치엔...

취재

내 이름은 이혜수, 한국사람입니다

  • 곽윤섭
  • | 2009.12.31

이 사진과 글은 사진가 이기태씨의 작품입니다. 아래쪽에 이기태씨에 대한 소개글이 있습니다. [포토스토리] ‘과거 자신’ 돕는 이혜수씨 베트남...

취재

모유 먹이는 엄마 찍으러 갔다가 ‘대략 난감’

  • 곽윤섭
  • | 2009.12.18

한겨레 섹션 ‘건강 2.0’ 사진취재 후기 민망함도 잠시, 4명의 엄마와 아기 절묘한 포즈 손 사진, 그래픽으로 어수선 ‘편집 위해서라면…’ 8월4...

취재

‘맛이 간’ 고등어 찍었는데 왜이리 싱싱해 보여?

  • 곽윤섭
  • | 2009.12.11

한겨레 섹션 ‘건강 2.0’ 사진취재후기 (1) 연기에 심취한 꼬마 모델 인상 써…모기는 그림으로 ‘뚝딱’ 편집자·취재기자들과 머리 맞대고 이미지 ...

취재

수류탄 든 50년대 군인과 21C 회사원이 같이

  • 곽윤섭
  • | 2009.12.03

강용석 사진전 ’한국전쟁 기념비’ ‘6·25 작가’ 전쟁 60돌 맞아 10년만에 개인전 지루함 벗고 이야기 담아 맛나게 ‘찰칵찰칵’ ▲ 충남 당진군...

전시회

하니포토워크숍 ‘뉴칼레도니아’ 사진전

  • 곽윤섭
  • | 2009.12.02

12일까지 서울 한미사진미술관 한겨레신문사가 마련하는 ‘1회 사진가등용 하니포토워크숍: 뉴칼레도니아’ 사진전이 12일까지 서울 방이동 한미사진미술...

취재

역사와 전통 - 경동 사진반 동문회

  • 곽윤섭
  • | 2009.11.26

경사회 사진반 옛자료 * 경사회 소개 경사회는 경동 고등학교 사진반 졸업자들로 구성된 모임으로 정식 명칭은 ‘경동 사진반 동문회’ 입니다. ...

취재

사라 문만의 가을동화 잔치 마지막 기회

  • 곽윤섭
  • | 2009.11.24

좋지 않은 카메라 역이용해 특유의 화질 ‘창조’ 만들어, 흐릿하게, 장노출로 찍으면 나도 작가 환상적인 가을동화 <사라 문 특별전> 폐막이 임...

취재

누르기 전에 잠깐, 사자 귀는 어디 걸렸나?

  • 곽윤섭
  • | 2009.11.18

가까이 더 가까이  ‘생각하는 것’과 ‘보는 것’은 다르다, 꽉 채워라 팁 하나 더, 세로의 마법을 익혀라 무에서 유를 창조하면 신의 손, 곧 ...

취재

자연이 찍었다

  • 곽윤섭
  • | 2009.11.17

[하니포토 워크숍] 카메라에 형형색색으로 담긴 풍광·삶·색깔 태평양 섬, 뉴칼레도니아, 사람도 그냥 자연일뿐 모자람도 넘침도 그저 자연이 한 일...

취재

누르기만 하면 모두가 그림, 태초가 있었다

  • 곽윤섭
  • | 2009.11.17

10장보다 나은 1장, 1장보다 나은 10장, 엮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를 찍었다 3색 테마, 3색 눈, ‘뉴칼레도니아+α’가 빛났다 뉴칼레도니아...

취재

사진 무림 춘추전국시대, 렌즈가 운다

  • 곽윤섭
  • | 2009.11.17

 달빛이 물빛을 읽는다. 안개는 아슴아슴  숨이 목에 차는 순간 찰칵!  필살기 노출 검법이 드디어 완성됐다  이젠 필터 장풍과 후보정 초식...

강의실

[미션 강의실] &lt;22강&gt;인물 찍을 때 예의는 필수, 몰카는 금물

  • 곽윤섭
  • | 2009.11.12

다리 찍어보자 서 있거나 앉거나 꼬거나 뛰거나 걷거나 … 잘못 들이대다간 ‘찰싹’ 친구 밥 한끼 사시라 ‘포토 스페셜-11강’에서 하트 만들기를...

강의실

[미션 강의실] &lt;21강&gt; 한 해 갈무리한 내 마음의 풍경, 시 한 편 찰칵

  • 곽윤섭
  • | 2009.11.05

가을, 추상을 찍자 디지털시대 크로스 오버, 사진일까 다른 무엇일까 문제는 내용…상상의 창고 열면 현실보다 더 현실 사진은 발명 초기부터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