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다르게 보기 투표 시작

사진마을 2016. 06. 24
조회수 6854 추천수 0

6월 ‘다르게 보기’의 테마는 ‘문-다르게 보기’ 투표를 시작합니다. 지난 번과 같은 요령입니다. 1인당 3장의 사진을 고를 수 있습니다. 본인이 본인의 사진에 투표해도 됩니다. 같은 번호를 2개 이상 쓰면 무효처리합니다. (예: 46, 46, 46 = 무효처리)

제가 이미 5장을 골랐습니다. 그러므로 이 사진들은 투표 대상에서 제외시켰습니다.

투표 마감은 7월 1일 낮 12시.

영국은 EU를 떠나는 데 투표했습니다. 우리는 사진을 살리는 투표를 합니다.

  

제가 고른 사진과 선정 이유를 밝힙니다. 어떤 형태의 문이든 상관 없다고 했는데 대단히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많았습니다. 이순열(경남 양산시 중부동)님, 이익빈(부산 남구 용호2동)님, 박호광(경기 안양시 동안구)님, 안동훈(전북 전주시 완산구)님, 김종우님입니다. 도서출판 ‘휴’에서 제공하는 신간 <괜찮아, 인생의 비를 일찍 맞았을 뿐이야>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이 책은 김인숙수녀님의 글과 남민영수녀님의 시로 구성되었습니다. 책 받을 주소를 아래 이메일로 보내주십시오. kwak1027@hani.co.kr

  

  

select01.jpg » 안동훈님 select02.jpg » 김종우님 select03.jpg » 이순열님 select04.jpg » 박호광님 select05.jpg » 이익빈님  

박호광님은 ‘신문’이란 제목을 달고 “신문사에도 없는 신문 전용문을 만들고 아침을 기다리는 그에게 오늘 신문은 무엇을 이야기 할까요?”라고 짧은 작가노트를 붙였습니다. 문에 달려있는 신문 투입구로 보이는 저 작은 구멍은 신문이 들어오는 문입니다. 한자로 따지자면 신문의 문은 “들을 문”에 해당합니다. 소식이 귀라는 문을 통해 들어온다는 것으로 연결하여 보이지 않으나 존재하는 문을 사진으로 담았으니 재치도 있고 의미도 있는 작품이 되었습니다. 이순열님은 통도사 금수암에서 찍은 절집의 문을 올렸습니다. 평범해보이지만 깊은 뜻이 담겼습니다. 과연 어느쪽이 문의 안 혹은 바깥일까요? 또는 안과 밖의 구분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요? 이런 의문을 떠올리게 만들었습니다. 웹진 사진마을에는 이 사진의 다음 순간을 담은 한 장이 더 올라와 있습니다. 고즈넉한 분위기가 확 깨지는 재미있는 사진이니 꼭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김종우님은 ‘드나듦’이란 제목으로 “문 인지 벽 인지는 경계를 들고 나 봐야 알 수 있다”고 설명을 달았습니다. 서로 안면이 없을 이순열님의 사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묘미가 있었습니다. 문을 “건너간다”는 발상이 좋았습니다. 이익빈님은 “가끔 지하철의 자동문은 영화에 나오는 죠스처럼 섬뜩하게 보일 때가 있다. 쩍 벌리고 있다가 느닷없이 물어뜯을 것만 같다. 그래도 우린 언제 닫힐지 모르는 그 ‘아가리’의 날카로운 투명이빨 사이를 별 것 아닌 듯이 무심히 드나드는 것 같다. 모르는 사이에 우린 어쩌면 '좀비'가 되어있는 지도 모른다.”라는 작가노트를 올렸습니다. 촌장이 사진을 뽑는 기준에는 글의 비중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다만 참고할 뿐인데 이익빈님의 글 역시 이 사진을 읽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사진이 좋았습니다. 문을 열고 쏟아지는 현대인들이 좀비로 변했다는 상상력을 높이 평가합니다. 안동훈님은 “눈이 쌓인 선운사 천왕문에서 불공을 드리는 신도입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사진에는 여러 개의 문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저는 석등의 가운데에 보이는 화창에 주목했습니다. 창문은 이견의 여지가 없는 문의 일종이니 그것으로 시시비비를 가릴 일은 없습니다. 등이 켜지면 등불이 절집과 세상을 비추게 됩니다. 빛이 통과하는 문입니다. 어쩌면 문의 필요성 혹은 존재이유를 어쩌면 가장 잘 보여주는 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진의 선정은 대단히 주관적입니다. 다르게 보기의 핵심은 보통 우리가 떠올리는 문을 피하자는 것이 가장 큰 기준이고 문이 있지만 문이 보이지 않게 하거나, 문을 찍었는데 문이 아닌 것처럼 보이게 하자는 것이 다음 기준이며 사진은 시각물이니 겉으로 보는 구성의 완성미는 버릴 수 없는 기준입니다. 응모한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다음 테마는 웹진 사진마을을 통해 발표하겠습니다.

 

투표 대상-------아래의 사진 중에서 3장을 고르고 번호를 쓰면 됩니다.

mun01.jpg » 01

mun02.jpg » 02 mun03.jpg » 03 mun04.jpg » 04

mun05.png » 05 mun06.jpg » 06 mun07.jpg » 07 mun08.jpg » 08 mun09.jpg » 09 mun10.jpg » 10 mun11.jpg » 11 mun13.jpg » 13 mun14.jpg » 14 mun15.jpg » 15 mun16.jpg » 16 mun17.jpg » 17 mun18.jpg » 18 mun19.jpg » 19 mun20.jpg » 20 mun21.jpg » 21 mun22.jpg » 22 mun23.jpg » 23 mun24.jpg » 24 mun25.jpg » 25 mun26.jpg » 26 mun27.jpg » 27 mun28.jpg » 28 mun29.jpg » 29 mun30.jpg » 30 mun31.jpg » 31 mun32.jpg » 32 mun33.jpg » 33 mun34.jpg » 34 mun35.jpg » 35 mun36.jpg » 36 mun37.jpg » 37 mun38.jpg » 38 mun39.jpg » 39 mun40.jpg » 40 mun41.jpg » 41 mun42.jpg » 42 mun43.jpg » 43 mun44.jpg » 44 mun45.jpg » 45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엮인글 :
http://photovil.hani.co.kr/526193/057/trackback


List of Articles
전시회

편하게 노는 아이들을 편히 찍었다 [1]

  • 사진마을
  • | 2016.07.07

송주원 사진전, <자작나무 학교 이야기> 품앗이형 대안학교 아이들, 그 땐 그랬다 너무 편하여 뭔가 다른 느낌이 들지 않는 사진전을 소개한다. ...

사진책

놀던 그 때, 치열하게 혹은 노골적으로

  • 사진마을
  • | 2016.07.06

'청춘길일' 사진집, 사진전 일본 거주 양승우 사진가 20년째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사진가 양승우씨의 사진집 ‘청춘길일’이 눈빛사진가선...

취재

아니, 매커리도 포토샵? 후보정 어디까지 [3]

  • 사진마을
  • | 2016.07.06

매그넘 사진가인 매커리 사진전 어설프게 손댄 사진으로 발칵 “스튜디오 기술자의 실수 뭔가 더하거나 빼면 안돼” 해명 해명에도 논란 이어지자 ...

최민식 포럼

최민식 사진상 사태의 조속한 수습을 촉구한다

  • 사진마을
  • | 2016.07.05

최민식사진상 사태와 관련해 눈빛출판사 이규상 대표가 사진계가 공히 나서서 문제를 수습할 것을 촉구하면서 의견을 보내왔다. 싣는다. 예의를 ...

취재

누가 이 남자를 기어가게 했나? [2]

  • 사진마을
  • | 2016.07.05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4. 2006년 5월 5일 카나리제도 푸에르테벤투라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다’가 개막되었다. 9월 2...

취재

액션보다 리액션

  • 사진마을
  • | 2016.07.01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3. 2009년 1월 7일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다’가 개막되었다. 9월 25일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

취재

민중을 이끄는 연필

  • 사진마을
  • | 2016.06.29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2. 2015년 1월 11일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다’가 드디어 개막되었다. 9월 25일까지 예술...

취재

원조 브렉시트, 그렉시트

  • 사진마을
  • | 2016.06.28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1. 2012년 6월 축구와 정치의 같은 점 다른 점 전쟁이지만 한 쪽은 둥글둥글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

최민식 포럼

협성재단 반론에 대한 이광수 교수의 재반론

  • 사진마을
  • | 2016.06.28

  협성문화재단과 제2회 최민식 사진상 운영위원장 이상일, 제2회 최민식 사진상 심사위원장 정주하 공동명의의 반론에 대해 처음 문제를 제기한 이...

최민식 포럼

최민식사진상 관련 이광수 교수의 글에 대한 반론

  • 사진마을
  • | 2016.06.27

부산최민식사진상과 관련하여 부산외국어대 이광수 교수가 제기한 의혹에 대하여 협성문화재단과 제 2회 최민식 사진상 운영위원장 이상일, 제 2회 ...

취재

스페이스22 2017 오픈콜

  • 사진마을
  • | 2016.06.27

강남 최고의 사진 미술 대안공간 <스페이스22>에서 공모전을 한다는 안내문이 왔습니다. 친절하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그냥 그대로 옮깁니다. 너무나...

취재

문-다르게 보기 투표 시작 [12]

  • 사진마을
  • | 2016.06.24

6월 ‘다르게 보기’의 테마는 ‘문-다르게 보기’ 투표를 시작합니다. 지난 번과 같은 요령입니다. 1인당 3장의 사진을 고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최민식 포럼

최민식사진상 심사에 대한 몇 가지 의혹-이광수교수 기고

  • 사진마을
  • | 2016.06.24

최민식사진상 심사와 관련하여 부산외국어대 이광수 교수가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며 글을 보내왔다. 전문을 가감없이 그대로 옮긴다. 예의를 갖춘다...

사진책

한뎃잠을 자는 이유

  • 사진마을
  • | 2016.06.21

고공농성부터 천막농성현장까지... 우리 시대의 민낯 정택용 사진집 <외박> 출간, 사진전 <잠의 송> 함께  2010년 기륭전자 비정규직 노동자의 투...

취재

중국 어선 백령도 코앞 새까맣게 몰려와 불법조업 [1]

  • 사진마을
  • | 2016.06.15

15일 오후 중국 어선들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해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 코앞 바다까지 진출해 불법조업을 하고 있다. 백령도 심청각 ...

전시회

B컷 사진 전시, 해석의 반란인가 모독인가

  • 사진마을
  • | 2016.06.12

사진전 ‘폐기된 사진의 귀환: FSA 펀치 사진’ 기획자 “권력에 살해된 사진 새로운 시선으로” “선택은 편집자의 몫…B컷은 B컷일 뿐” 반론 ...

사진책

사진은 재현적 예술인가?

  • 사진마을
  • | 2016.06.08

스콧 윌든이 엮은 <사진과 철학> 서평  절반만 읽고 서평을 쓴다. 광화문에서 책을 산 지 1주일이 넘었는데 450쪽이 넘는 탓도 있지만 완전히 이...

취재

어르신들을 웃게 하라

  • 사진마을
  • | 2016.06.08

사진 가르쳐줘 전시…“눈도 마음도 탁!”  네 명의 대학생이 지난달 31일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대원칸타빌 1단지 노인정을 방문했다. 이들은 ...

취재

삶도 연기도…인생은 아직 막 내리지 않았다

  • 사진마을
  • | 2016.06.08

 내 나이가 어때서 <10> '노인인권 지킴이' 무지개인형극단      노인 학대·차별 등 녹여넣어 절절  지금, 여기 현실처럼 생생   ...

취재

송건호 대학사진상 발표

  • 사진마을
  • | 2016.06.03

청암언론문화재단과 한겨레신문사가 공동 주최한 2016년 ‘제3회 송건호 대학사진상’ 공모전 결과가 발표되었다. 대상의 영예는 ‘메르스의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