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뎃잠을 자는 이유

사진마을 2016. 06. 21
조회수 9267 추천수 3

고공농성부터 천막농성현장까지... 우리 시대의 민낯

정택용 사진집 <외박> 출간, 사진전 <잠의 송> 함께

 

 

jty01.jpg » 경기 평택 쌍용자동차 공장 안 굴뚝 2009.8.6

 

 2010년 기륭전자 비정규직 노동자의 투쟁 1,895일의 기록을 담은 사진집 ‘너희는 고립되었다’를 냈던 사진가 정택용이 두 번째 사진집 ‘외박’을 냈다. 책 출간에 맞춰 사진전 ‘잠의 송’이 서울 종로구 류가헌에서 7월 3일까지 열리고 있다. 사진집 ‘외박’과 사진전 ‘잠의 송’은 고공농성부터 천막농성현장까지 “우리 시대의 한뎃잠”을 담고 있다. jty0001.jpg


 ‘외박’은 2부로 구성되어 총 140여 점이 실려있다. 1부 고공농성은 2006년 5월 1일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타워크레인에 오른 현대하이스코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진부터 2016년 4월 18일 부산 만덕지구 철탑 위의 철거민 사진까지가 실렸다. 2부 한뎃잠은 2006년 2월 15일 서울 광화문 도로에 드러누운 금속노동자의 사진부터 2016년 5월 11일 단원고 교실에서 잠을 자며 지키는 세월로 참사 유족의 사진까지다.
  크레인 위에서 점처럼 서있는 사람이 보이는 사진에 대해 물었더니 정택용은 “잘 보이지 않겠지만 누군지 알고 있다. 직책까지 분명하게 해야 한다. 그는 대우조선 하청노동자조직위원회 강병재 의장이다”라고 말했다. 굴뚝 위에서 헬기로 후송되는 사람에 대해서 “쌍용차 서맹섭 비정규직지회 부지회장으로 짐작하고 있다.”라고 했다.
   현장을 지키는 다큐멘터리사진가에 대해서 자주 언급한다. 어떤 곳이 현장인가?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에서 새우잠을 청하고 있는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진,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길에서 연좌하고 있는 세월호 유가족들의 사진, 2007년 대형마트의 매장에서 쪽잠을 자는 노동자들의 사진에서 현장의 정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인천공항, 세월호 유가족, 대형마트 노동자들도 가정으로 돌아가면 가장이고 마을의 주민이다. 이에 따라 서민들이 이용하는 대중탕도 현장이며 속속 생겼다가 속속 문을 닫는 동네 치킨집, 미장원도 사진가들이 지켜야 할 현장이다.

 

jty02.jpg »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안 N암벽문 옆 타워크레인 2015.6.24

jty03.jpg » 뉴코아킴스클럽 2007. 07. 29

jty04.jpg »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 2013.12.19.

jty05.jpg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 4.16 세월호 참사 유가족 2014.5.9.

 
 소설가 조세희씨는 추천사에서 “정택용의 이번 사진집 ‘외박’은 아름다울 수도, 아름다워서도 안 되는 그 아득한 세상에 대한 기록이다. 새도 둥지를 틀지 않는 굴뚝에서, 철탑에서, 교각 위에서, 아시바탑 위에서 불안한 잠을 청해야 하는 어떤 현대인들의 가파른 운명에 대한 새로운 인류학 보고서이기도 하다.”라고 썼다. 
  류가헌 전시장을 지키고 있는 정택용에게 전화를 걸어 어떤 사진을 찍고 있는지 물었다. 정택용은 책에 있는 저자 소개를 빌어 “2005년 서울 금천구 기륭전자에서 처음 현장 노동자들을 찍었다. 그 뒤로 비정규직과 정리해고, 국가폭력이 끊임없이 뒤섞이는 현장 속에서 자본한테는 ‘사람’이 아닌 사람, 국가한테는 ‘국민’이 아닌 국민을 찍어왔다. 사진을 찍을수록 대추리나 제주 강정, 밀양, 용산과 더불어 숱한 노동 현장이 모두 하나로 이어져 있음을 알아간다. 그 끈을 발견하는 일이 사진기가 든 가방을 가볍게 만든다. 일하는 사람들의 땀과 생태를 위협하는 인간의 탐욕에도 관심이 많지만 언젠가는 풍경 사진만 찍으며 먹고살 수 있는 날들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라고 말했다. 나도 그가 언젠가는 풍경 사진만 찍을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하긴 한다.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전시회

편하게 노는 아이들을 편히 찍었다 [1]

  • 사진마을
  • | 2016.07.07

송주원 사진전, <자작나무 학교 이야기> 품앗이형 대안학교 아이들, 그 땐 그랬다 너무 편하여 뭔가 다른 느낌이 들지 않는 사진전을 소개한다. ...

사진책

놀던 그 때, 치열하게 혹은 노골적으로

  • 사진마을
  • | 2016.07.06

'청춘길일' 사진집, 사진전 일본 거주 양승우 사진가 20년째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사진가 양승우씨의 사진집 ‘청춘길일’이 눈빛사진가선...

취재

아니, 매커리도 포토샵? 후보정 어디까지 [3]

  • 사진마을
  • | 2016.07.06

매그넘 사진가인 매커리 사진전 어설프게 손댄 사진으로 발칵 “스튜디오 기술자의 실수 뭔가 더하거나 빼면 안돼” 해명 해명에도 논란 이어지자 ...

최민식 포럼

최민식 사진상 사태의 조속한 수습을 촉구한다

  • 사진마을
  • | 2016.07.05

최민식사진상 사태와 관련해 눈빛출판사 이규상 대표가 사진계가 공히 나서서 문제를 수습할 것을 촉구하면서 의견을 보내왔다. 싣는다. 예의를 ...

취재

누가 이 남자를 기어가게 했나? [2]

  • 사진마을
  • | 2016.07.05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4. 2006년 5월 5일 카나리제도 푸에르테벤투라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다’가 개막되었다. 9월 2...

취재

액션보다 리액션

  • 사진마을
  • | 2016.07.01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3. 2009년 1월 7일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다’가 개막되었다. 9월 25일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

취재

민중을 이끄는 연필

  • 사진마을
  • | 2016.06.29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2. 2015년 1월 11일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다’가 드디어 개막되었다. 9월 25일까지 예술...

취재

원조 브렉시트, 그렉시트

  • 사진마을
  • | 2016.06.28

[로이터 사진전-이 한 장] 1. 2012년 6월 축구와 정치의 같은 점 다른 점 전쟁이지만 한 쪽은 둥글둥글 ‘로이터 사진전-세상의 드라마를 기록하...

최민식 포럼

협성재단 반론에 대한 이광수 교수의 재반론

  • 사진마을
  • | 2016.06.28

  협성문화재단과 제2회 최민식 사진상 운영위원장 이상일, 제2회 최민식 사진상 심사위원장 정주하 공동명의의 반론에 대해 처음 문제를 제기한 이...

최민식 포럼

최민식사진상 관련 이광수 교수의 글에 대한 반론

  • 사진마을
  • | 2016.06.27

부산최민식사진상과 관련하여 부산외국어대 이광수 교수가 제기한 의혹에 대하여 협성문화재단과 제 2회 최민식 사진상 운영위원장 이상일, 제 2회 ...

취재

스페이스22 2017 오픈콜

  • 사진마을
  • | 2016.06.27

강남 최고의 사진 미술 대안공간 <스페이스22>에서 공모전을 한다는 안내문이 왔습니다. 친절하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그냥 그대로 옮깁니다. 너무나...

취재

문-다르게 보기 투표 시작 [12]

  • 사진마을
  • | 2016.06.24

6월 ‘다르게 보기’의 테마는 ‘문-다르게 보기’ 투표를 시작합니다. 지난 번과 같은 요령입니다. 1인당 3장의 사진을 고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최민식 포럼

최민식사진상 심사에 대한 몇 가지 의혹-이광수교수 기고

  • 사진마을
  • | 2016.06.24

최민식사진상 심사와 관련하여 부산외국어대 이광수 교수가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며 글을 보내왔다. 전문을 가감없이 그대로 옮긴다. 예의를 갖춘다...

사진책

한뎃잠을 자는 이유

  • 사진마을
  • | 2016.06.21

고공농성부터 천막농성현장까지... 우리 시대의 민낯 정택용 사진집 <외박> 출간, 사진전 <잠의 송> 함께  2010년 기륭전자 비정규직 노동자의 투...

취재

중국 어선 백령도 코앞 새까맣게 몰려와 불법조업 [1]

  • 사진마을
  • | 2016.06.15

15일 오후 중국 어선들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해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 코앞 바다까지 진출해 불법조업을 하고 있다. 백령도 심청각 ...

전시회

B컷 사진 전시, 해석의 반란인가 모독인가

  • 사진마을
  • | 2016.06.12

사진전 ‘폐기된 사진의 귀환: FSA 펀치 사진’ 기획자 “권력에 살해된 사진 새로운 시선으로” “선택은 편집자의 몫…B컷은 B컷일 뿐” 반론 ...

사진책

사진은 재현적 예술인가?

  • 사진마을
  • | 2016.06.08

스콧 윌든이 엮은 <사진과 철학> 서평  절반만 읽고 서평을 쓴다. 광화문에서 책을 산 지 1주일이 넘었는데 450쪽이 넘는 탓도 있지만 완전히 이...

취재

어르신들을 웃게 하라

  • 사진마을
  • | 2016.06.08

사진 가르쳐줘 전시…“눈도 마음도 탁!”  네 명의 대학생이 지난달 31일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대원칸타빌 1단지 노인정을 방문했다. 이들은 ...

취재

삶도 연기도…인생은 아직 막 내리지 않았다

  • 사진마을
  • | 2016.06.08

 내 나이가 어때서 <10> '노인인권 지킴이' 무지개인형극단      노인 학대·차별 등 녹여넣어 절절  지금, 여기 현실처럼 생생   ...

취재

송건호 대학사진상 발표

  • 사진마을
  • | 2016.06.03

청암언론문화재단과 한겨레신문사가 공동 주최한 2016년 ‘제3회 송건호 대학사진상’ 공모전 결과가 발표되었다. 대상의 영예는 ‘메르스의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