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조각 어슬렁거려 어제 진실 포착

사진마을 2018. 09. 04
조회수 5473 추천수 0

내 인생의 사진책/강홍구의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20년 후>


khg01.jpg khg02.jpg


서울은 언제나 과거를 소멸하는 방식으로 변모해왔다. “기억의 소멸이 미덕인 도시가 바로 서울”이라고 지적한 어느 건축가의 말처럼, 한국의 도시화는 마치 폐허 위에 폐허를 쌓듯이, 팽창과 압축을 반복하였다. 80, 90년대 대표적인 도시 키워드 ‘재개발’은 거주자 공간의 확장이면서 동시에 무차별한 철거를 동반했으며, 거대한 거주단지는, 생겼다는 것 자체가 이미 사라질 운명을 뜻했다. 한곳에 머물러 산다는 ‘주거’라는 표현 대신에 ‘기거’한다는 표현이 더 적절한지도 모른다. 근거지를 버리고 이주하는 노마드적인 삶이야말로 현대 도시인의 태도가 된 지 오래다.
 안타깝게도 이렇게 삭제된 도시에는 기억이 없다. 이방인에게는 화려하고 도회적인 풍경일지 모르겠으나, 정작 실체가 소멸한 도시는 우리에게 기억의, 기록도 되지 않은 ‘없어진 고향’일 뿐이다. 이전에 대한 흔적이 없다는 것은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는 완전히 사라졌기에 결과적으로 불완전한 과거가 되어버린다. 이런 부제는 우리 마음 속에는 불온한 상태만을 남길 뿐이다. 이런 환경에도 불구하고 도시 주변부를 배회하며 현재의 파편을 모아 과거의 진실을 맞추는 자들이 있다. 이들은 고도성장에서 밀려나 방치된 소위 ‘변두리’의 소소한 사건이나 일상을 포착한다. 대체로 이러한 일련의 관찰과 기록 활동은 어슬렁거리며 주변 산책하기를 즐기는 유랑자들인데, 근거 없는 말인지는 몰라도 그들은 꽤 ‘낭만적’이고 ‘아무 곳도 아닌 곳’을 그럴싸하게 보여주는 연금술사들 같다. 조금 유식하게 말하자면 발터 벤야민의 현대판 도시 산책자(Fl?neur 플라뇌르)라고 해야 할까? kje1.jpg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 20년 후>는 도시의 사소한 영역을 관찰하고 기록한 사진 에세이집이다. 2001년 황금가지에서 나온 책에 실린 글을 바탕으로 그 후로부터 십수 년 간에 저자 강홍구의 기억과 사진 기록들을 덧붙인 책이다. 에세이는 크게 4개로 구성되었으며 “스티커 사진과 인스타그램, 붕어빵과 컵 밥, 전신주의 스티커 광고와 전광판 모니터, 이발소 그림과 아트페어 그림 등…” 쓸모에 따라 유사한 소재를 중심으로 글쓰기를 재구성한 게 특징이다. 고작 몇 년의 세월이지만 글 속에 일상의 소재들은 동일한 대상이든 그렇지 않든 꽤 과거와 현재 간의 시간의 온도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덧붙여 길거리를 어슬렁거리며 찍은 저자의 사진은 노련한 예술가의 솜씨라기보다 오히려 거칠고 서툴다. 나는 이런 허술함을 저자의 의도로 보는데 그의 밋밋한 사진들이 동시에 저자의 어투를 퍽 닮았기 때문이다. 그의 글은 단조롭고 느슨하지만 예리하고 날카롭다.
 
 얼마 전 예술과 경영을 빗대어 설명한 짧은 글귀에 매우 공감한 적이 있다. “미술은 보이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을 보이게 하는 것이다.” 화가 파울 클레의 말을 빗대어 견(見)을 하지 말고 관(觀)을 하라는 소리였다.kje.jpg 사실 이 책이 그러하다. 무엇보다도 저자인 관찰자의 시선이 도시의 나머지 부분, 다시 말해서 거시적이고 기념비적인 중심의 기록에서 벗어나서 ‘가장 잊히기 쉬운 주변부의 사소한 것들’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눈에 보이는 것만 찍을 수 있지만 그에 대한 사고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일 때가 많다. 그래서인지 나에게 강홍구의 사진과 글은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 한국판 버전과 같다. 이 책의 부제인 “우리 시대 일상 속 시각 문화 읽기”가 꽤 거창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한편에는 사실 온전히 사진에 관해서만 다루지도 않는다. 사진집이라고 말하기보다는 오히려 ‘기록되지 않은 사사로움’을 ‘읽고, 쓰고, 보이게 하는’ 책이라 해야 할 것이다.
 
 오래도록 쓸모없는 것들을 관찰해서인지 이 책은 저자만의 독특한 사물의 본질과 차이를 드러난다. 이처럼 도시의 사소한 역사를 드러내는 한 명의 눈이 아니라 천 개의 눈으로 기록될 수 있었다면 어떠했을까. 아마 천 개의 마을에 대한 천 개의 기억을 가질 수 있었을 거다. 그래서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이 보여주는 사소한 도시의 역사는 이렇듯 사진과 글로 틈틈이 기록한 덕분에 결코 시시하지 않은 것이 되어버렸다.
 
 김정은 (이안북스 발행인 및 더레퍼런스 대표)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사진이 있는 수필

달나라행 비행기 [8]

  • 사진마을
  • | 2018.09.14

사진기자들은 움직이는 물체를 잘 보는 ‘동체시력’이 일반인들보다는 조금이라도 뛰어난 편이다. 또한 사진기자들은 시선의 초점을 정면에 두고 있...

전시회

우리는 '자영업자'입니다

  • 사진마을
  • | 2018.09.11

동네 밥집, 빵집, 이발소, 미장원 우리 시대 자영업자들의 현주소 김지연 작가 사진전 <자영업자> 김지연 개인전 ‘자영업자’가 11일부터 10월 3...

전시회

당신의 피안은 어디에?

  • 사진마을
  • | 2018.09.10

비가 오나 눈이 오나 10년간 주말마다 기독교 공동체 동광원 파주 분원 찾다 그곳에서 자신의 피안을 찾은 사진가 김원 사진집 <피안의 사계> 출...

전시회

지하 1,200미터 이야기

  • 사진마을
  • | 2018.09.06

   박병문 작가의 사진전 <검은 땅 막장 탄부들>이 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주시 덕진구 여산로에 있는 갤러리 파인(Gallery Fine) (063-212-4...

전시회

모두에게 아름다운 인생을 [2]

  • 사진마을
  • | 2018.09.05

[빵수녀님, 아일랜드 골웨이 온라인 사진전] 미국동부캐나다 관구(Salesian Sisters of Saint John Bosco)로 부임하신 박현주 세실리아 수녀님(빵수...

내 인생의 사진책

오늘의 조각 어슬렁거려 어제 진실 포착

  • 사진마을
  • | 2018.09.04

내 인생의 사진책/강홍구의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20년 후> 서울은 언제나 과거를 소멸하는 방식으로 변모해왔다. “기억의 소멸이 미덕인 도시가...

전시회

"한국에 혼혈인이 있었다" [1]

  • 사진마을
  • | 2018.09.04

'순혈 단일민족' 편견 부끄러운 역사 기록 [한국혼혈인 26년 찍은 이재갑씨] 가수 박일준씨가 TV에서 말했다 “흰 우유 많이 먹으면 피부 하얗...

사진책

경의선 타고 80년대로 '빠꾸 오라이'

  • 사진마을
  • | 2018.08.23

사진가 김용철 35년만에 첫 사진집 1988년부터 1998년까지 '경의선' 통기타, 삶은 계란, 기차길 옆 오막살이 사진가 김용철의 사진집 ‘경의선’(...

사진이 있는 수필

앞만 보고 달려라

  • 사진마을
  • | 2018.08.10

사진이 있는 수필 #25 <인간의 굴레>, <달과 6펜스>등 널리 알려진 소설을 쓴 영국 소설가 서머싯 모음은 재치있는 명언도 여럿 남겼다. 그중엔...

취재

국회의원 300명과 밥 먹기 도전

  • 사진마을
  • | 2018.08.10

[초원복집연구회] 인터뷰 유명 정치맛집 찾아서 수다 떨기 페이스북과 유튜브에 글, 영상 그들만의 정치 아닌, 일상 속 정치  지난해 10월 1일 ...

전시회

눈물 같이 핀 배꽃

  • 사진마을
  • | 2018.08.09

김호영 작가의 개인전 ‘배꽃의 노래(梨花靜歌)’가 10일부터 서울 충무로 갤러리 브레송에서 열린다. 18일까지. 2년 전에 김호영 작가는 ‘고요의 ...

내 인생의 사진책

당신의 등 뒤에 지나온 삶이 있다

  • 사진마을
  • | 2018.08.06

 내 인생의 사진책/권혁재의 비하인드   이 책의 책장을 덮을 때쯤이면 번번이 가슴이 먹먹해지고 글자가 어룽거린다. 여러 번 들여다보고 여...

사진책

뉴욕의 모든 것, 사울 레이터 [2]

  • 사진마을
  • | 2018.08.03

흐릿한 물체, 유리나 거울을 통해 겹겹이 발생하는 반영과 투영 속의 거리, 마네킹처럼 보이는 사람, 회화에서 잘라내온 듯한 풍경, 영화의 한 ...

전시회

찍는 사람을 닮은 사진

  • 사진마을
  • | 2018.07.31

평양 6 차례 다녀온 임종진 사진전 ‘사는 거이 다 똑같디요’ 류가헌에서, 8월 26일까지 임종진의 사진전 ‘사는거이 다 똑같디요-북녘의 일상’...

사진책

꿈꾸면 이루어진다 [1]

  • 사진마을
  • | 2018.07.27

김녕만 사진집 '분단의 현장 판문점과 DMZ' 휴전후 65년. 그 중 35년 동안의 분단을 기록 현장을 떠났으나 접경지역에서 보이는 북녘 김녕만 ...

사진책

역주행하는 사나이, 스티브 맥커리

  • 사진마을
  • | 2018.07.20

세계적 사진가 집단 매그넘 포토스와 출판사 뒤피(Dupuis)가 함께한 그래픽 노블 사진가 시리즈 세 번째 책 ‘스티브 맥커리: 가까이, 더 가까이’...

전시회

부산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사진마을
  • | 2018.07.18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세 사진가 문진우, 김동진, 정남준의 3인전 <부산사견록>이 서울 충무로 갤러리브레송에서 열리고 있다. 7월 28일까지. 이...

전시회

양곡창고가 갤러리로

  • 사진마을
  • | 2018.07.17

양곡창고를 문화공간으로 개조 담양 '담빛예술창고'에서 사진전 전남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 6번지에 자리한 남송창고는 1968년에 지어져 2004년 국...

내 인생의 사진책

인간의 존재 증명, 25년이 지나도 현대적

  • 사진마을
  • | 2018.07.13

내 인생의 사진책/ 김남진 <폴라로이드 누드> 인상 깊었던 사진집을 손꼽는다면 늘 김남진의 ‘폴라로이드 누드(POLAROID NUDES)’를 기억하고 ...

전시회

이동준 개인전 <비열한 도시> [1]

  • 사진마을
  • | 2018.07.11

이동준 작가의 개인전 <비열한 도시>가 서울 충무로 ‘갤러리 브레송’에서 열리고 있다. 7월 14일까지. 이동준 작가는 한겨레 웹진 사진마을의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