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마당

111.jpg 222.jpg 3.jpg44.jpg 5.jpg 6.jpg 7.jpg

최민식.jpg 8.jpg 9.jpg 10.JPG 11.jpg 12.jpg 13.jpg 14.jpg15-1.jpg 16.jpg 17.jpg 18.jpg 19.jpg 20.jpg 21.jpg마지막 사진.jpg

 

강미옥은 사진가이자 시인이다.pr02.jpg
향수전국사진공모전 금상을 비롯하여 다수의 작품이 입상되었으며
한국사진작가협회 정회원으로 사진 활동하고 있으며,
삽량문학회 편집장으로 디지털사진과 시로 결합된
디카시를 지역신문에 연재중이다.

저서로 강미옥 디카시집 <기억의 그늘>(눈빛출판사)이 있다.
   
■ 디카시
디지털카메라로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형상을 포착하여 찍은 영상과 함께 문자로 표현한 시이다.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학 장르로,
언어 예술이라는 기존 시의 범주를 확장하여
영상과 5행 이내의 문자를 하나의 텍스트로 결합한
멀티 언어 예술이다.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에 디카시가 문학용어 명사로 등재]
 

블러그 : <강미옥 시인의 사진이야기>  운영중입니다.
http://blog.daum.net/meokk2  

   

매주 연재합니다. 

1. 자연과 사람의 만남

2. 통도사와 암자이야기

3. 풍경 속에서 감성찾기.. 세가지 주제를 돌아가면서 연재할 것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엮인글 :
http://photovil.hani.co.kr/608798/0b2/trackback



kiminae1004

2017.04.02 20:31:16

시인과 사진작가는 하나의 눈을 더 가진 존재라 생각합니다.

귀 또한 하나를 더 가진 존재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민한 시각과 청각으로 타인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

타인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들으며 그것을

시나 사진으로 육화시키는 존재들이니까요.

강미옥작가의 디카시집 ‘기억의 그늘’은 그래서 더욱 특별합니다.

시인이자 사진작가로서의 명민한 그 두 개의 귀와 눈을 가진

강미옥작가의 디카시집이니까요.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감흥(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세계가 흡! 하고 숨을 멈춘 순간의 형상을, 디지털카메라에 담고

그 세계가 이야기하는 메시지를 짧은 오행 이내의 문자에 담아내는,

언어예술을 넘어 멀티언어예술로서 시의 언어 카테고리를 확장한

디카시의 정체성에 부합하면서 빼어난 영상과 깊이 있는 메시지가

한 몸을 이루어 울려내는 울림은  한 편 한 편 디카시 앞에서

마음걸음을 쉬이 옮겨놓지 못하도록 합니다.

디카시, 한 편 한 편을 만나면서 마음에는 온기의 불씨를 지피게 되고

자연의 순환 보편 진리를 깨달으며 아하, 아하! 하게 됩니다.

갈피갈피에서 진하게 묻어나는 따뜻한 휴머니즘에 물들며

화되고 울먹이며 그 울림에 젖어있게 합니다.

곁에 두고, 보고 또 보고 싶은 강미옥작가의 디카시집 ‘기억의 그늘’입니다.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