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마당

 

ssh3301.jpg ssh3302.jpg ssh3303.jpg ssh3304.jpg

 

 

12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세월호 청문회가 있었다.

속속 은폐의 증거들이 제시되고 ‘왜’라는 물음에
세월호 선원들과 해경들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애들이 어려서, 철이 없어서, 나오지 못했다 라고 말했다.
 
해경이 포기한 구조에 뛰어든 민간 잠수사들의 생생한 증언도 이어졌다.
발가락을 먼저 만졌다.
그 감각이 아직도 느껴진다.
온갖 장애물들을 헤쳐 놓고,
아이가 최대한 다치지 않도록 가슴팍에다 아이의 얼굴을 묻었다.
 
꼭 안아야 했다. 어디라도 부딪히면…가슴이 너무 아팠다.
신체가 비정상적으로 꺾인 아이들이 많았다.
살기 위해 온몸으로, 천장이 돼버린 벽을 뚫었을 것이다.
 
마지막 순간까지 살려고 손이 뭉개지도록 문을 뜯어냈을 아이들에게
죽음 앞에서 사랑하는 이들에게 문자를 보냈을 아이들에게
이제 그만 편히 쉬라고 말할 수 있을까,
 
자식 잃은 부모들은 가슴을 쥐어 잡고 또 피눈물을 흘렸다.
그곳에 진실은 없었다.
언론은 침묵했다.
 

 


 신승현 작가는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

평일에는 개미처럼 일하는 회사원,ssh001.png

주말에는 배짱이처럼 사진놀이하고 있다.

 

"셔터를 누르면 사진이 찍힌다."

멋도 모르면서 혼자 카메라 들고 무작정 나섰었다.

낯선 동네 사람을 만나고 이야기를 들으며 셔터를 눌렀댔다.

사람이 좋다. 눈과 눈 마주침이 좋다. 썰 푸는 삶이 좋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방랑자

2015.12.24 21:21:26

추천
1
비추천
0

무디어도 넘

무디어진 감각들..

살며 살아가며 툭하면 들이대는 날카로운 잣대들..

여기엔,,왜 침묵하고 잊혀저야 하는가..

신승현

2015.12.31 19:20:56

세월이 약이다 합니다...

아무리 고통스런 기억도 시간이 지나면 잊혀진다고...

그래서 살아 갈수 있는거라고...

하지만 그 망각에 저항해야 하는 것도 있음을 알게 되었어요....

희미해졌을지라도 잊을수는 없겠죠. 우리 모두. ㅜ.ㅜ

jinude

2015.12.25 11:41:06

추천
1
비추천
0

대한민국 언론, 진보언론의 명암은

세월호사태의 진실 규명 기여도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믿습니다.


작가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신승현

2015.12.31 19:26:05

도데체 지금 언론이 언론인가라는 물음도 하게 됩니다.

눈 가리고 귀 막고 심지어 입도 다물라고 합니다.

거기에 춤추고 있는 언론이란.

항상 저의 어줍잖음과 얕음도 부끄럽습니다.

감사합니다 ㅜ.ㅜ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