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마당

5월 2주차 참여 작가

노창길: 영천시장의 장인들

박경희: 미네르바 두 번째 이야기

최현주: 서른즈음에

 

 

pgh01.JPG pgh02.JPG pgh03.JPG pgh04.JPG pgh05.JPG pgh06.JPG pgh07.JPG pgh08.JPG pgh09.JPG

 

미네르바 두 번째 이야기

 

서울 서대문구 명물길 18.

1975년 커피를 사랑하는 연세대학원 학생이 문을 연 이래로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으나 그 누구도 큰 투자를 원치 않아

역설적으로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요즘 어디서나 만나는 프랜차이즈 커피점에선 느낄 수 없는 분위기,

특히 70~80년대 신촌 대학가의 낭만과 커피 맛을 유지하고 있어서

2015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현인선 대표는 1997IMF 경제위기로 퇴사한 후

2000년부터 20년 동안 이 곳을 운영해오고 있는데

설명 한 마디, 손길 한 번에도 이 가게에 대한 자부심이 그대로 묻어나는 듯하다.

45년 동안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Siphon 커피부터

Handdrip, cold brew 방식인 Dutch 커피가 주 메뉴이며

Roasting도 물론 직접 한다.

이전 주인으로부터 물려받은 오래된 낡은 공책에는

각 커피의 추출 방법과 함께 세월의 얼룩이 그대로 남아있다.
 
 박경희 작가


 

chj01.JPG chj02.JPG chj03.JPG chj04.JPG chj05.JPG chj06.JPG chj07.JPG chj08.JPG

서른즈음에

 

최영미 시인의 ‘서른, 잔치는 끝났다’라는 시구를 떠올리며 계단을 오르다 보면,
신촌에서 대학시절을 치열하게 보냈던 ‘7080’세대 사장님이 그곳에 계신다.
젊음의 거리인 신촌을 30여 년간 지켜온 사장님은 신촌 거리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요즘 트렌드에 개의치 않고 통기타가 어울릴 것 같은 ‘서른즈음에’도
자신만의 개성으로 담아내고 있다.
손님맞이 준비로 주방과 카운터는 분주해지기 시작한다.

이곳 인기 메뉴인 ‘먹태’는 늘 부족하다.
사장님이 특별히 까다롭게 감별하는 생맥주 또한 인기 상품이다.
직원인 후배들에게 선배인 사장님은 격이 없이 지내는 삼촌과도 같다. 
  
최현주 작가 


 

 

rcg01.JPG rcg02.JPG rcg03.JPG rcg04.JPG rcg05.JPG rcg06.JPG rcg07.JPG rcg08.JPG

 

영천시장의 장인들

 

봄이 왔다고는 하는데 아침에는 쌀쌀하다
하루 온도차가 17~8℃가 차이가 나니…
카메라를 둘러메고 영천시장으로 간다.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장을 보고…
시장의 상인들은 손님을 상대하랴
물건을 만드랴 바쁘다.
오늘은 자타가 인정하는 장인의 손 끝에
힘을 실어 보았다.
오랜만에 찾아온 손님들과
대화를 하면서도 그들의 손은 잠시도 쉬지를 않는다.
빠른 손놀림으로 물건을 만들고 정리하고
자신의 영역에서 최고임을 보여준다.
매일 매일이 반복되는 일상이겠지만
묵묵히 최선을 다하는 그들이 내게는 아름다워 보인다.

 

노창길 작가



  

도시재생사진단

 

11명의 사진가들이 의기투합하여 2020년부터 도시재생을 주제로 사진작업을 시작합니다. 도시재생은 여러 뜻이 함축된 다양한 형태의 활동입니다. 산업화 시대의 산물로 탄생한 도시의 건축물과 시설이 도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 구실을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노후화된 도시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는 모든 활동이 도시재생을 형성합니다. 재개발, 재건축 같은 기존의 물리적 정비방식에 더해 골목길 청소, 불법주차로 인한 보행권 위협 해소, 담장 미화 등 크고 작은 모든 움직임이 도시재생을 의미합니다. 한겨레 사진마을 도시재생사진단(이하 도시재생사진단)은 올해 서울 서대문구 ‘천연 충현’과 신촌의 오래된 가게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기록해나갈 것입니다. 기록된 사진은 연말에 사진전과 사진책 발간으로 이어집니다.

 참여 작가들을 소개합니다. 

 


김승준 작가

사진을 어떻게 하면 잘 찍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지금은 왜 사진을 찍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dojaesa09.jpg
사진을 찍으면서 자주 내 안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 결과물들을 누군가의 시선 속으로 던져놓는 것은
매번 쑥스럽고 부끄럽기만 하지만
그 순간들을 버텨내며 조금씩 단단해져가고 있다고 믿기에
여전히 지금도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섭니다.
요즈음 제주의 산과 바다와 바람, 신화와 전설
그리고 제주人에 대한 무한 애정을 빌미로
많이 부족하지만 그것들을 사진 속에 담아내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나의 제주사랑이 더 농염해지기를 바라봅니다.     
 
--------------------------------------------------------------------------------------------------------                                                                   

김충식 작가

dojaesa05.jpg

쳇바퀴 같던 시간이 지나 나만의 시간이 많아진 요즘, 

많은 것을 기억하고 싶고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 

욕심이라는 걸 지금에 와서 느꼈다는 게 번민의 시작이었다. 
조금씩 나의 기억과 몸과 마음이 예전과 다름에 이를 채울 수 있는 게 

사진이라는 매체가
답이었다. 그런데 쉽지 않다. 그것도 욕심이었음을.....
하지만 기억 속에 남아있을 과거를 사진열차에 몸과 마음을 실어 보려 한다.  

 
 

 --------------------------------------------------------------------------------------------------------
dojaesa06.jpg

남궁자영 작가

멋지거나 새롭거나 독특한, 혹은 유머가 있거나 추억이 담긴, 이 모든 아름다움을 찾아서 사진을 찍어 남기는 일은 나를 순화하고 치유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가 이제껏 살아온 공간과 그 안의 사람들 또한 아름다움을 지키며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언제까지나 이 모든 여정을 함께 할 카메라가 있으니 참 든든합니다.

 

 

 

-------------------------------------------------------------------------------------------------------- 


노창길 작가(단장)

‘사진은 - 쓰고 읽고 말하기’   

 

오랜 기간 직장생활을 하면서 업무와 관련하여
찍어 왔던 무수히 많은 사진들이 있다.
 R01.jpg
문득, 그 사진들을 보면서
“사진에 생명을 준다면”
이러한 생각에 수년이 지난 지금 여기에 와있다.
 
아직 만족할 만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고,
영원히 그 해답을 찾지 못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계속 진행될 것이다.
 
그것이 사진에 대한 나의 열망이니... 


 --------------------------------------------------------------------------------------------------------


마길영 작가

“도시 재생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사진을 찍어 보았습니다.dojaesa07.jpg

현재의 낡은 집을 기초로 그저 낡은 부분만 수리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바로 주변의 다세대 주택으로의 모습으로 변화해야 하는지?

아니면 멀리 보이는 그리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아파트의 형태로 바꾸어야 하는지?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집들의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한 장의 사진에 보여주고도 싶었습니다.


-. 2018년 2월 28일: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수업 후 첫 공동 사진집 냄.
-. 2019년 12월 7일:   두번째 공동 사진집 <사이>에 참여.  (마길영)  


 --------------------------------------------------------------------------------------------------------


박경희 작가


 pgh.jpg


사진과 여행을 좋아하는 part timer.
세상을 찬찬히 깊게 바라보고 나만의 맥락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그 과정에서 자신도 몰랐던 내면을 들여다보게 되는 
성찰의 방편으로 사진을 하고 싶다.
인적 드문 곳에서 만나는 경이로운 자연
북적이는 시장에서 마주치는 우리의 일상
뭔가 마음을 울리는 진실 된 모습이라면
그 무엇이든 담고 싶다.
아직은 미흡할지라도 가끔은 우연의 신이 도와주리라 기대하면서.  


 --------------------------------------------------------------------------------------------------------


박정희 작가

 

인식이란 것이 생기고 부터

궁금한 것, 궁금한 곳이 많았다dojaesa08.jpg

아는 것은 알아서 모르는 것은 몰라서 더욱.

 

세월 흘러흘러 망각이란 검은강이

기억을 슬금슬금 쓸어가고 부터

눈에 잡히지 않는 앎에 대한 욕구는 내려 놓고

잊고 싶지 않은 곳을  붙들어  놓기위해 든 카메라

 

예기치 않던 번뇌망상 일기도 하지만  

아직은 가장 재미 있는 놀이 

거듭하다 보면 내게도 남에게도 어떤 의미가 될 수 있을까? 

 

 ------------------------------------------------------------------------------------------------------- 

 오기봉 작가

-------------------------------------------------------------------------------------------------------- 

 dojaesa01.jpg이용욱 작가

 

 

퇴직 후 잡은 카메라가 자꾸 나를 재촉합니다.

 

렌즈로 들여다 본 세상에 대해 말해 보라구요.


우연히 아무데서 아무렇게나 만나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기록하며

 

 

그 속에서 당연하지 않은 행복을 찾아보려 합니다.  

-------------------------------------------------------------------------------------------------------- 

 

dojaesa10.jpg

정난희 작가

나를 보는 타인의 시선 그리고 나를 보는 나자신의 시선.
하지만 사진을 시작하면서 또다른 나를 알게 된다.
사진은 나의 스토리이다.
나의 마음속 깊고 깊은 구석을 자리잡은, 나 조차도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대신 말해주고 있다.

 

 

 


 --------------------------------------------------------------------------------------------------------

 

최현주 작가dojaesa02.jpg

소소한 일상의 흔적을 카메라에 담다 보면, 그 안에는 어제의 내가 있기도 하고, 내일의 내가 보이기도 한다.
뒤돌아볼 겨를도 없이 바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삶 속에서,

렌즈 속으로 보이는 세상살이는 나를 들뜨게도 하고 좌절하게도 하며 지속적으로 흥분시키는 무언가가 있다.
반복적인 일상일지라도 프레임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스토리가 생기고,

소통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 내는 사진 한 컷.
멋진 프레임은 아닐지라도, 마음 한쪽에 뭉클하게 파고드는

이 사진 한 컷이 카메라를 들고 밖으로 뛰쳐나가게 만드는 이유가 아닐까.
이러한 ‘사진살이’는 지리멸렬한 일상을 반복해내야 하는 내 삶 속에서 나만의 해방구가 되어줄 것이다. 

 

  (가나다순)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