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마당

  

 

 

ng01.jpg ng02.jpg ng03.jpg ng04.jpg  ng06.jpg ng07.jpg ng08.jpg ng09.jpg

ng001.jpg

 하루를 마감하는 시간..

 
어둑어둑해지는가 싶더니 어느새 깜깜해진 저녁...
하루종일 북적이던 사람들이 빠져나간 재래시장 안은 아침과는 또 다른 분주함이 조용히 일렁입니다.
하루 장사를 마감한 상인들은 하나 둘씩 서둘러 철시를 준비하고 가득 채운 장 보따리를 손에 든 마지막 시장손님들의 발걸음에도 조급함이 느껴집니다.
가족들과 편안한 휴식이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가는 시간...
오늘도 우리는 참 열심히 살았습니다.

 

남궁자영 작가



ncg01.JPG ncg02.JPG ncg03.JPG ncg04.JPG ncg05.JPG ncg06.JPG ncg07.JPG ncg08.JPG ncg09.JPG ncg10.JPG

재개발 - 사라지는 흔적들
 
지워지는 흔적을 아쉬워하며
그 누군가는 마을을 떠나야만 하고
떠나는 그 누군가의 빈 자리에
새로운 삶이 시작이 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
그 흔적을 기억하는 이 없다면…
 
노창길 작가

 

 

 

mgy1-01.JPG mgy1-02.JPG mgy1-03.JPG mgy1-04.JPG mgy1-05.JPG mgy1-06.JPG

mgy1-001.jpg


산다는 것은 쓸쓸하고 외로운 것이다.
 
시장을 보고 돌아가는 여인의 뒷모습에서,
홀로 철문을 지키는 고양이,
아무도 없는 뒷 골목을 홀로 밝히는 가로등,
주인을 기다리는 손수레에서도,
그리고 어우리며 노는 비둘기들을 쳐다보는 오토바이의 헤드라이트까지. 

현실은 낡고 쓸쓸한 다세대 빌라 그래도 마음은 창문에 비추인 새 아파트…

 

마길영 작가

 

 

34pgh01.JPG 34pgh02.JPG 34pgh03.JPG 34pgh04.JPG 34pgh05.JPG 34pgh06.JPG 34pgh07.JPG 34pgh08.JPG 34pgh09.JPG 34pgh10.JPG 34pgh11.JPG

 

빛으로 내려앉는

 

고단한 하루를 뒤로 해가 뉘엿뉘엿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푸른 어스름이 골목길까지 내려앉으면
사람이 그리운 이들
주점 앞으로 모여든다.
따뜻한 가로등
인기척 없던 창문의 불빛
가만히 골목을 밝혀준다.
 
박경희 작가


 

pjh01.JPG pjh02.JPG pjh03.JPG pjh04.JPG pjh05.JPG

 

고양이
 
천연마을엔 고양이가 정말  많다.
‘봄은 고양이로소이다’싯귀처럼
그 봄인 이유?.
 
오래되어 빈집 있는 마을엔 고양이가 많다
성가실 것 없이 맘껏 누리는 자유?.
 
놀이터인 지붕 위에서 졸며 놀며
지나는 이 빤히 바라다 보는 눈동자!.
 
어떤 이유로든 그들이 있어 골목골목이 더 반갑다. 

 

박정희 작가

 


 

ogb01.jpg ogb02.jpg ogb03.jpg ogb04.jpg ogb05.jpg

창천동 성진세탁

 

“필요할 땐 언제나 있었고,
필요할 때만 찾았던,
그러나 따져보니 30년 동안 거기 항상 있었던....
창천동 성진세탁”

 

오기봉 작가

 


 

lyu001.JPG lyu002.JPG lyu003.JPG lyu004.JPG  lyu006.JPG lyu007.JPG lyu008.JPG lyu009.JPG 

lyu0001.JPG

 

 뒷골목의 봄

 

인적 없는 골목은 비둘기의 산책로가
폐가의 지붕은 고양이의 놀이터가 되었다.
사람의 온기가 떠나버린 마을인 줄 알았는데
우편물이 주인을 찾아오고
음식을 나누며 서로의 안부를 챙기는
인정이 살아 있다.
따스한 봄이 왔다.

 

이용욱 작가


 

jnh01.jpg jnh02.jpg jnh03.jpg jnh04.jpg

 

괜찮다, 괜찮다, 괜찮다
골목 구석진 자리인들
낡고 초라해진 모습인들
너에겐 사연의 향기가 있으니...

 

정난희 작가

 

 

11명의 사진가들이 의기투합하여 2020년부터 도시재생을 주제로 사진작업을 시작합니다. 도시재생은 여러 뜻이 함축된 다양한 형태의 활동입니다. 산업화 시대의 산물로 탄생한 도시의 건축물과 시설이 도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 구실을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노후화된 도시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는 모든 활동이 도시재생을 형성합니다. 재개발, 재건축 같은 기존의 물리적 정비방식에 더해 골목길 청소, 불법주차로 인한 보행권 위협 해소, 담장 미화 등 크고 작은 모든 움직임이 도시재생을 의미합니다. 한겨레 사진마을 도시재생사진단(이하 도시재생사진단)은 올해 서울 서대문구 ‘천연 충현’과 신촌의 오래된 가게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기록해나갈 것입니다. 기록된 사진은 연말에 사진전과 사진책 발간으로 이어집니다.

첫 회 작품과 더불어 참여 작가들을 소개합니다. 

 


김승준 작가

사진을 어떻게 하면 잘 찍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지금은 왜 사진을 찍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dojaesa09.jpg
사진을 찍으면서 자주 내 안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 결과물들을 누군가의 시선 속으로 던져놓는 것은
매번 쑥스럽고 부끄럽기만 하지만
그 순간들을 버텨내며 조금씩 단단해져가고 있다고 믿기에
여전히 지금도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섭니다.
요즈음 제주의 산과 바다와 바람, 신화와 전설
그리고 제주人에 대한 무한 애정을 빌미로
많이 부족하지만 그것들을 사진 속에 담아내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나의 제주사랑이 더 농염해지기를 바라봅니다.     
 
--------------------------------------------------------------------------------------------------------                                                                   

김충식 작가

dojaesa05.jpg

쳇바퀴 같던 시간이 지나 나만의 시간이 많아진 요즘, 

많은 것을 기억하고 싶고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 

욕심이라는 걸 지금에 와서 느꼈다는 게 번민의 시작이었다. 
조금씩 나의 기억과 몸과 마음이 예전과 다름에 이를 채울 수 있는 게 

사진이라는 매체가
답이었다. 그런데 쉽지 않다. 그것도 욕심이었음을.....
하지만 기억 속에 남아있을 과거를 사진열차에 몸과 마음을 실어 보려 한다.  

 
 

 --------------------------------------------------------------------------------------------------------
dojaesa06.jpg

남궁자영 작가

멋지거나 새롭거나 독특한, 혹은 유머가 있거나 추억이 담긴, 이 모든 아름다움을 찾아서 사진을 찍어 남기는 일은 나를 순화하고 치유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가 이제껏 살아온 공간과 그 안의 사람들 또한 아름다움을 지키며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언제까지나 이 모든 여정을 함께 할 카메라가 있으니 참 든든합니다.

 

 

 

-------------------------------------------------------------------------------------------------------- 


노창길 작가(단장)

‘사진은 - 쓰고 읽고 말하기’   

 

오랜 기간 직장생활을 하면서 업무와 관련하여
찍어 왔던 무수히 많은 사진들이 있다.
 R01.jpg
문득, 그 사진들을 보면서
“사진에 생명을 준다면”
이러한 생각에 수년이 지난 지금 여기에 와있다.
 
아직 만족할 만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고,
영원히 그 해답을 찾지 못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계속 진행될 것이다.
 
그것이 사진에 대한 나의 열망이니... 


 --------------------------------------------------------------------------------------------------------


마길영 작가

“도시 재생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사진을 찍어 보았습니다.dojaesa07.jpg

현재의 낡은 집을 기초로 그저 낡은 부분만 수리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바로 주변의 다세대 주택으로의 모습으로 변화해야 하는지?

아니면 멀리 보이는 그리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아파트의 형태로 바꾸어야 하는지?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집들의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한 장의 사진에 보여주고도 싶었습니다.


-. 2018년 2월 28일: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수업 후 첫 공동 사진집 냄.
-. 2019년 12월 7일:   두번째 공동 사진집 <사이>에 참여.  (마길영)  


 --------------------------------------------------------------------------------------------------------


박경희 작가


 pgh.jpg


사진과 여행을 좋아하는 part timer.
세상을 찬찬히 깊게 바라보고 나만의 맥락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그 과정에서 자신도 몰랐던 내면을 들여다보게 되는 
성찰의 방편으로 사진을 하고 싶다.
인적 드문 곳에서 만나는 경이로운 자연
북적이는 시장에서 마주치는 우리의 일상
뭔가 마음을 울리는 진실 된 모습이라면
그 무엇이든 담고 싶다.
아직은 미흡할지라도 가끔은 우연의 신이 도와주리라 기대하면서.  


 --------------------------------------------------------------------------------------------------------


박정희 작가

 

인식이란 것이 생기고 부터

궁금한 것, 궁금한 곳이 많았다dojaesa08.jpg

아는 것은 알아서 모르는 것은 몰라서 더욱.

 

세월 흘러흘러 망각이란 검은강이

기억을 슬금슬금 쓸어가고 부터

눈에 잡히지 않는 앎에 대한 욕구는 내려 놓고

잊고 싶지 않은 곳을  붙들어  놓기위해 든 카메라

 

예기치 않던 번뇌망상 일기도 하지만  

아직은 가장 재미 있는 놀이 

거듭하다 보면 내게도 남에게도 어떤 의미가 될 수 있을까? 

 

 ------------------------------------------------------------------------------------------------------- 

 오기봉 작가

-------------------------------------------------------------------------------------------------------- 

 dojaesa01.jpg이용욱 작가

 

 

퇴직 후 잡은 카메라가 자꾸 나를 재촉합니다.

 

렌즈로 들여다 본 세상에 대해 말해 보라구요.


우연히 아무데서 아무렇게나 만나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기록하며

 

 

그 속에서 당연하지 않은 행복을 찾아보려 합니다.  

-------------------------------------------------------------------------------------------------------- 

 

dojaesa10.jpg

정난희 작가

나를 보는 타인의 시선 그리고 나를 보는 나자신의 시선.
하지만 사진을 시작하면서 또다른 나를 알게 된다.
사진은 나의 스토리이다.
나의 마음속 깊고 깊은 구석을 자리잡은, 나 조차도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대신 말해주고 있다.

 

 

 


 --------------------------------------------------------------------------------------------------------

 

최현주 작가dojaesa02.jpg

소소한 일상의 흔적을 카메라에 담다 보면, 그 안에는 어제의 내가 있기도 하고, 내일의 내가 보이기도 한다.
뒤돌아볼 겨를도 없이 바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삶 속에서,

렌즈 속으로 보이는 세상살이는 나를 들뜨게도 하고 좌절하게도 하며 지속적으로 흥분시키는 무언가가 있다.
반복적인 일상일지라도 프레임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스토리가 생기고,

소통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 내는 사진 한 컷.
멋진 프레임은 아닐지라도, 마음 한쪽에 뭉클하게 파고드는

이 사진 한 컷이 카메라를 들고 밖으로 뛰쳐나가게 만드는 이유가 아닐까.
이러한 ‘사진살이’는 지리멸렬한 일상을 반복해내야 하는 내 삶 속에서 나만의 해방구가 되어줄 것이다. 

 

  (가나다순)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엮인글 :
http://photovil.hani.co.kr/835724/11a/trackback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