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마당

n04.jpg

n07.jpg

n08.jpg

n03.jpg

n12.jpg

n13.jpg

n01.jpg 

n05.jpg

n09.jpg n10.jpg n11.jpg

n06.jpg

 n15.jpg

2020년 겨울 끝자락의 천연동 재개발지역에는 곧 사라질 것들이 내뿜는 폐허감과 아직은 그곳이 누군가의 소중한 보금자리임을 알리는 온기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남궁자영

 
 

yt01.JPG yt02.JPG yt03.JPG yt04.JPG yt05.JPG

 

떡집 (떡 공장?)
 
한 낮임에도 굳게 닫혀 있는 떡집.
밤을 지새우며 일하는 일터인지라
낮 시간에는 바쁘게
떡 공장의 작업하는 모습을 볼수가 없다.
단지 깨끗하게(?) 정리 정돈이 되어 있는 모습만 보일뿐.
좁은 골목이 많아 지나는 사람도 많지 않아
을씨년 스럽고 음침해 보이기까지 한다.
해가 지고 어둠이 깊어가면
그곳은 대낮 보다도 더 환한
더 밝은 웃음소리와 기계소리가 어우러진다.

 

 

2yt01.JPG 2yt02.JPG 2yt03.JPG 2yt04.JPG 2yt05.JPG 2yt06.JPG 2yt07.JPG

 
새벽시장


사람이 보이질 않는다.
그리 이른 시간이 아님에도
예전 이 시간대에는 사람도 많고
활기찬 모습이 많이 보였는데
지금은 철시한 시장처럼
고요하고 적막만 흐른다.
항상 인내하고 기다릴 줄 아는
소상공인 시장사람들.
그들의 숨겨진 주름살은 언제쯤 펴지려나.
이른 시간에 장을 여는 전통시장의 모습으로
언제쯤 활기를 찿으려나.

 

노창길

 

 

bgh01.JPG bgh02.JPG bgh03.JPG bgh04.JPG bgh05.JPG bgh06.JPG bgh07.JPG bgh08.JPG bgh09.JPG

골목길에 들어서면

 

영천시장 뒤쪽 골목길에 들어서면

작은 집들이 주욱 이어진다.

이미 길게는 십 여 년씩 비어 있는 집들 사이로

아직 사람들의 온기는 여전히 남아있다.

골목길에서 화분의 흙을 고르고 있는 아저씨.

파나 감자를 심는다고 하신다.

그러고 보니 골목마다

주욱 늘어선 화분들이 마을 사람들의 텃밭이었다.

머지않아 사라질 풍경이다.


박경희


 

pjh01.JPG pjh02.JPG pjh03.JPG pjh04.JPG pjh05.JPG pjh06.JPG pjh07.JPG pjh08.JPG pjh09.JPG pjh10.JPG pjh11.JPG pjh12.JPG pjh13.JPG pjh14.JPG pjh15.JPG pjh16.JPG pjh17.JPG pjh18.JPG pjh19.JPG pjh20.JPG pjh21.JPG

 

영천시장


첫 방문 2월1일
좀 한산하나 그래도 시장
둘째, 파는 이보다 사는 이가 적은 시장
셋째, 문닫는 가게 하나 둘 늘더니
어느새 휑한 시장 같지 않은 시장
역병의 두려움만 들어차는 중.

방문 한 달째인 오늘
드디어 영천시장이 시장으로 돌아왔다
코로나 여직 숙지지 않았지만
먹어야 살 수 있는 고로
시장으로 사람이 드는 것
 
한산해진 것도
부산해진 것도
다 살고자 하는 생존본능
다르나 같은 이유.

 

 

2pjh01.JPG 2pjh02.JPG 2pjh03.JPG 2pjh04.JPG 2pjh05.JPG 2pjh06.JPG 2pjh07.JPG 2pjh08.JPG 2pjh09.JPG 2pjh10.JPG 2pjh11.JPG 2pjh12.JPG

 

충현마을


텅텅 빈 폐가
지붕 위를 떠나지 않은 냥이는
안 가는 건지
못 가는 건지
갈 곳 없는 건지
인생무상!
냥이생무상?.

사람살이 지속되는 골목도 인적은 드물다
계속되는 역병에
기와집 음표교실의 아이들  노래 멈췄고
볕바라기하던  노인들의 두런거림도 멈췄다 
동백 핀  처마에도  폐상자만  차곡차곡.
 
봄인데
진짜 봄이 왔는데.
 
박정희


 

10명의 사진가들이 의기투합하여 2020년부터 도시재생을 주제로 사진작업을 시작합니다. 도시재생은 여러 뜻이 함축된 다양한 형태의 활동입니다. 산업화 시대의 산물로 탄생한 도시의 건축물과 시설이 도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 구실을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노후화된 도시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는 모든 활동이 도시재생을 형성합니다. 재개발, 재건축 같은 기존의 물리적 정비방식에 더해 골목길 청소, 불법주차로 인한 보행권 위협 해소, 담장 미화 등 크고 작은 모든 움직임이 도시재생을 의미합니다. 한겨레 사진마을 도시재생사진단(이하 도시재생사진단)은 올해 서울 서대문구 ‘천연 충현’과 신촌의 오래된 가게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기록해나갈 것입니다. 기록된 사진은 연말에 사진전과 사진책 발간으로 이어집니다.

첫 회 작품과 더불어 참여 작가들을 소개합니다. 

 


김승준 작가

사진을 어떻게 하면 잘 찍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지금은 왜 사진을 찍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dojaesa09.jpg
사진을 찍으면서 자주 내 안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 결과물들을 누군가의 시선 속으로 던져놓는 것은
매번 쑥스럽고 부끄럽기만 하지만
그 순간들을 버텨내며 조금씩 단단해져가고 있다고 믿기에
여전히 지금도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섭니다.
요즈음 제주의 산과 바다와 바람, 신화와 전설
그리고 제주人에 대한 무한 애정을 빌미로
많이 부족하지만 그것들을 사진 속에 담아내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나의 제주사랑이 더 농염해지기를 바라봅니다.     
 
--------------------------------------------------------------------------------------------------------                                                                   

김충식 작가

dojaesa05.jpg

쳇바퀴 같던 시간이 지나 나만의 시간이 많아진 요즘, 

많은 것을 기억하고 싶고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 

욕심이라는 걸 지금에 와서 느꼈다는 게 번민의 시작이었다. 
조금씩 나의 기억과 몸과 마음이 예전과 다름에 이를 채울 수 있는 게 

사진이라는 매체가
답이었다. 그런데 쉽지 않다. 그것도 욕심이었음을.....
하지만 기억 속에 남아있을 과거를 사진열차에 몸과 마음을 실어 보려 한다.  

 
 

 --------------------------------------------------------------------------------------------------------
dojaesa06.jpg

 
남궁자영 작가

멋지거나 새롭거나 독특한, 혹은 유머가 있거나 추억이 담긴, 이 모든 아름다움을 찾아서 사진을 찍어 남기는 일은 나를 순화하고 치유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가 이제껏 살아온 공간과 그 안의 사람들 또한 아름다움을 지키며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언제까지나 이 모든 여정을 함께 할 카메라가 있으니 참 든든합니다.

  

 


-------------------------------------------------------------------------------------------------------- 


노창길 작가(단장)

‘사진은 - 쓰고 읽고 말하기’   

 

오랜 기간 직장생활을 하면서 업무와 관련하여
찍어 왔던 무수히 많은 사진들이 있다.
 dojaesa03.jpg
문득, 그 사진들을 보면서
“사진에 생명을 준다면”
이러한 생각에 수년이 지난 지금 여기에 와있다.
 
아직 만족할 만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고,
영원히 그 해답을 찾지 못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계속 진행될 것이다.
 
그것이 사진에 대한 나의 열망이니... 


 --------------------------------------------------------------------------------------------------------


마길영 작가

“도시 재생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사진을 찍어 보았습니다.dojaesa07.jpg

현재의 낡은 집을 기초로 그저 낡은 부분만 수리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바로 주변의 다세대 주택으로의 모습으로 변화해야 하는지?

아니면 멀리 보이는 그리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아파트의 형태로 바꾸어야 하는지?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집들의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한 장의 사진에 보여주고도 싶었습니다.


-. 2018년 2월 28일: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수업 후 첫 공동 사진집 냄.
-. 2019년 12월 7일:   두번째 공동 사진집 <사이>에 참여.  (마길영)  


 --------------------------------------------------------------------------------------------------------


박경희 작가
사진과 여행에 관심이 많은 part timer.dosa401.jpg
세상을 천천히 깊게 바라보고 나 자신의 맥락으로 표현하고 싶은 열망으로,
궁극적으로는 나 자신도 몰랐던 내면을 들여다보게 되는
성찰의 방편으로 사진을 하고 싶다.
인적 없는 텅 빈 대자연,
북적이는 시장에서 마주치는 우리의 일상,
뭔가 마음을 울리는 진실 된 모습이라면
무엇이든 담고 싶다.
미흡하고 서툰 몸짓이지만 가끔은 우연의 여신이 도와주리라 기대하면서.


 


 --------------------------------------------------------------------------------------------------------


박정희 작가

 

인식이란 것이 생기고 부터

궁금한 것, 궁금한 곳이 많았다dojaesa08.jpg

아는 것은 알아서 모르는 것은 몰라서 더욱.

 

세월 흘러흘러 망각이란 검은강이

기억을 슬금슬금 쓸어가고 부터

눈에 잡히지 않는 앎에 대한 욕구는 내려 놓고

잊고 싶지 않은 곳을  붙들어  놓기위해 든 카메라

 

예기치 않던 번뇌망상 일기도 하지만  

아직은 가장 재미 있는 놀이 

거듭하다 보면 내게도 남에게도 어떤 의미가 될 수 있을까?

    

 

-------------------------------------------------------------------------------------------------------- 

 dojaesa01.jpg이용욱 작가

 

 

퇴직 후 잡은 카메라가 자꾸 나를 재촉합니다.

 

렌즈로 들여다 본 세상에 대해 말해 보라구요.


우연히 아무데서 아무렇게나 만나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기록하며

 

 

그 속에서 당연하지 않은 행복을 찾아보려 합니다.  

-------------------------------------------------------------------------------------------------------- 

 

dojaesa10.jpg

정난희 작가

나를 보는 타인의 시선 그리고 나를 보는 나자신의 시선.
하지만 사진을 시작하면서 또다른 나를 알게 된다.
사진은 나의 스토리이다.
나의 마음속 깊고 깊은 구석을 자리잡은, 나 조차도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대신 말해주고 있다.

 

 

 


 --------------------------------------------------------------------------------------------------------

 

최현주 작가dojaesa02.jpg

소소한 일상의 흔적을 카메라에 담다 보면, 그 안에는 어제의 내가 있기도 하고, 내일의 내가 보이기도 한다.
뒤돌아볼 겨를도 없이 바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삶 속에서,

렌즈 속으로 보이는 세상살이는 나를 들뜨게도 하고 좌절하게도 하며 지속적으로 흥분시키는 무언가가 있다.
반복적인 일상일지라도 프레임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스토리가 생기고,

소통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 내는 사진 한 컷.
멋진 프레임은 아닐지라도, 마음 한쪽에 뭉클하게 파고드는

이 사진 한 컷이 카메라를 들고 밖으로 뛰쳐나가게 만드는 이유가 아닐까.
이러한 ‘사진살이’는 지리멸렬한 일상을 반복해내야 하는 내 삶 속에서 나만의 해방구가 되어줄 것이다. 

 

  (가나다순)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엮인글 :
http://photovil.hani.co.kr/833717/571/trackback



김형호

2020.03.08 21:54:42

반가운 작가분들이 많습니다.

응원합니다^^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