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마당

 lsg0101.jpg lsg0102.jpg lsg0103.jpg

lsg0104.jpg

lsg0105.jpg

lsg0106.jpg

lsg0107.jpg

lsg0108.jpg

lsg0109.jpg

lsg0110.jpg

lsg0111.jpg

lsg0112.jpg

lsg0113.jpg

lsg0114.jpg

lsg0115.jpg

lsg0116.jpg

lsg0117.jpg

lsg0118.jpg

lsg0119.jpg

 

 

 

광교산 자락에 딱새 부부가 둥지를 틀고 포란과 육추에 걸쳐 이소하기까지 전 과정을 담은 적이 있습니다.
딱새는 교미를 시작하고 포란 상태에서
육추과정을 거처 숲으로 이소하기까지 보통 15일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딱새 부부의 전 과정을 틈틈히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담는 과정에 참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알에서 깨어난 처음 하루는 아무것도 먹는 게 없었으며
3일째 가 보았는데 아주 어린 애벌레를 물어 나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점차 먹이가 달라지더군요.
나방. 

귀뚜라미.
딱정벌레.
여치….
어린 아이 키우는 것과 흡사했습니다.
부드러운 먹이에서 점차 영양이 풍부한 이유식을 먹이는 것처럼..
목이 마르겠지요.
부리로 물을 나를 수 없겠지요.
해결 방법은
열매 나 수분이 많은 애벌레를 짬짬이 물어 날라 해결하더군요.
감동이였던것은
비바람이 몹시불던 날
탈진을 막으려는 듯
많은 양의 먹이를 그 비바람 속에서 물어 나르고
날개로 품고 비바람을 고스란히 견디어 내는 부정을 보았습니다.
새는 제가 지금껏 관찰한 바에 따르면,
모정보다는 부정이 훨씬 강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육추 기간 내내 거의 어미새 보다는 아빠새가 먹이와
심지어는 어린 새끼의 배설을 돕는 관장 하는 모습을 담을 수 있었는데
부리로 새끼 똥꼬를 자극해 배설하는 순간 둥지 밖으로 물어 나르는 이도 역시 아빠인 숫컷이였답니다.
들고양이가 둥지를 노리며 접근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사진을 담던 저도 긴장하여 돌멩이를 들고 지켜보던 순간
어디서 나타났는지
그 작은 몸짓으로 마치 미사일처럼 온 몸을 던져
고양이를 공격해 물리치는 것도 역시 아빠새 숫컷이었답니다.
 
감사합니다.
딱새 부부와 새끼들을 소개합니다.

 

 

 

lsg01001.JPG     이석각 작가는,

     1958년생,

     건축을 전공했으며

     퇴직해 지금은 건축설계 디자인을하며

     다인산업개발 을 운영 중입니다.

     취미로 생태조류 사진을 즐겨 촬영합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