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호. 학명은 Asio flammeus flammeus (PONTOPPIDAN)이다.
전장은 38.5㎝이고, 머리꼭대기·뒷목·윗등은 갈색을 띤 황갈색이며 어두운 갈색의 굵은 축반(軸班)이 있다. 턱밑은 흰색 또는 연한 미색이고, 가슴은 황갈색으로 가는 축반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볼 수 있는 비교적 드문 겨울새로 산지의 풀밭, 개활지의 갈밭, 교목과 관목, 잡목 등의 가지에 앉는다. 저녁부터 활동하는 새이나 낮에도 활동하는 수가 있다.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걸쳐 한배에 4∼8개의 알을 낳는다. 암컷이 포란을 전담하며 포란기간은 24∼28일이다. 주식물은 들쥐와 작은 들새 및 곤충류이다.
올빼미과 조류는 육식성 조류로서 오늘날 생존에 가장 위협을 받고 있는 조류 중의 한 무리이다. 이들은 오염된 동물성 먹이를 취식하고 있기 때문에 번식력이 떨어지고 있으며, 서식환경이 파괴되어 생존집단이 날로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쇠부엉이를 포함한 7종의 새를 올빼미·부엉이류로 묶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점심 후
모처럼 빛이 떨어지지 않는다.
뿌연 하늘과 스모그가 연이은 날씨들,
조류 사진을 즐겨 담는 사람으로선 오늘 같은 빛 좋은 날이 기쁘다.
사진에 있어 빛은 생명을 준다.
화홍방조제를 찾는다.
올 들어 두 번째.
백만 평이 넘는다는 개활지에 끝없이 이어지는 갈대숲을 차로 헤집고 돌아다니는 기분이란.
마치 정글에서 탐조를 하는 것 같은 착각마저 들게 한다.
매년 단골이 되는 금눈쇠부엉이, 잿빛개구리매가 보이고, 초원수리도, 흰꼬리수리도 보인다.
황조롱이 들쥐사냥 샷은 예선 흔한 장면이다.
쇠부엉이를 오늘 담았다.
그것도 아주 근접촬영을 했다.
탐조의 재미가 준 우연한 행운이다.
화홍호 쇠부엉이를 소개 합니다.
이석각 작가는
1958년생
건축을 전공했으며
퇴직해 지금은 건축설계 디자인을 하며
다인산업개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취미로 생태조류 사진을 즐겨 촬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