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에서 남산의 서울타워는 또렷이 보인다. 기차 창문에도 서울타워는 비친다. 서울역 건너편 쪽방촌 작은 창을 통해서도 화려한 서울타워 불빛이 넘어온다. 쪽방촌 시장 구석구석에도 서울타워는 그 몸을 숨기지 않는다. 쪽방촌 어디에서나 서울타워는 한눈에 들어온다.
서울타워는 쪽방촌 사람들이 뭘 하는지 보고 있다. 공원에서 술을 얼마나 마시는지, 거리에서 누가 자고 있는지, 어느 집 쌀이 떨어졌는지, 누가 이사 가고 누가 이사 왔는지, 누가 아픈지 모두 보고 있다.
그러나 쪽방촌 사람들은 서울타워에 올라가 본 적도, 그 안에 들어가 본 적도 없다. 그 안에 뭐가 있는지 모른다. 서울타워는 늘 거기에 우뚝 서 있는 존재이다.
서울타워는 쪽방촌의 파놉티콘이다.
김원 작가는![]()
24년차 직장인이다.
본격적으로 사진작업을 한지 10년 정도 되었다.
몇 번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쪽방촌 작업을 5년째 진행 중이고, 기독교 수도원 작업은 8년 정도 되었다.
여시아견(如是我見)은 금강경의 첫 구절 여시아문(如是我聞)에서 따 온 것이다.
‘내가 본 것’을 나의 느낌으로 보여 주고자 함이다.
쪽방촌, 수도원, 소소한 일상, 이 세 가지 주제가 내가 카메라로 보고 있는 것들이다.
내가 카메라로 본 세상, 그것이 여시아견(如是我見)이다.
무슨 말씀인지는 짐작이 됩니다만, 서울타워에 대해서는 워낙 다양한 기억들이 있지 않나요? 제 추측으로는 나쁜 기억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기억도 상당할 겁니다 저 역시 그렇고요 서울타워가 흔히 말하는 서울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다보니 눈에 많이 띄기는 합니다만, 그걸 바로 파놉티콘으로 연결하는 건 제겐 별로 와닿지 않습니다 혹시 기분 언짢아 마시고요^^ 사진 잘 보고 있습니다 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