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의 꽃을 찾아 떠난 여행 -사위질빵
‘이 땅의 사위들이여, 끝까지 잘하자!’
사위질빵은 장모님의 사위사랑이 듬뿍 담긴 이름이다.
사위사랑은 장모라고, 씨암탉을 잡아주는 것도 모자라 사위가 밭일할 때 힘들까 봐
사위가 지는 지게의 질빵은 이것의 줄기로 만들어 주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위질빵의 줄기는 마디가 약해서 툭툭 부러진다.
그러니 이것으로 지게질빵을 만들면 조금만 짐이 무거워도 끊어진다.
사위질빵이 피어나는 계절이다.
마치 하얀 눈이 쌓인 듯, 폭죽놀이를 하듯 피어나는 사위질빵은 언제 가장 예쁠까?
폭죽놀이를 하기 전, 갓 피어났을 때 가장 예쁘다.
사위도 언제 예쁠까?
갓 결혼해서 딸과 사랑에 빠져 살아갈 때 가장 예쁘겠다.
그러나 갓 피어났을 때도 예쁘지만,
가을의 끝자락을 잡고 씨앗이 맺힌 후 역광의 햇살에 빛날 때도 예쁘다.
이 씨앗의 아름다움은 때론 겨울을 넘겨 봄까지 이어진다.
이 땅의 사위들이여! 끝까지 잘하자.
김민수작가는서울생으로 현재 한남교회 담임목사, 문화법인 ‘들풀’ 대표.2003년 ‘Black&White展’, 2004년 ‘End&Start展’2004, 2005년 ‘여미지식물원 초정 ’제주의 야생화 전시회’
2005년 북제주군청 초청 ‘순회전시회’
2011년 한겨레포토워크숍 '가상현실‘로 연말결선 최우수상, 한겨레등용작가2013년 지역주민을 위한 ‘들풀사진강좌’ 개설저서로 <내게로 다가온 꽃들 1, 2>, <달팽이는 느리고, 호박은 못생겼다?>, <하나님, 거기 계셨군요?>, <달팽이는 느리고 호박은 못 생겼다?>, <달팽이 걸음으로 제주를 걷다>,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 등이 있다.각종 매체에 ‘포토에세이’를 연재했으며, 사진과 관련된 글쓰기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