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욱 교수의 작가론
10월 28일 개강
2012년 7월부터 시작하여 2년이 넘도록 꾸준히 지속되고 있는 이영욱교수의 인문학강좌는 그동안 롤랑바르뜨, 수잔 손탁, 발터 벤야민 등 을 논했고 사진사, 미술사 등을 다루어 왔습니다. 이번에는 작가론입니다.
이영욱 교수는 이번 사진가론에서 기존의 양식이나 소재의 선택에 따라 분석했던 사진작가론을 벗어납니다. 사진역사의 흐름에 따라 주요작가순서를 배열하고 작가의 작품에 나타나는 문제의식을 주제에 따라 철학자들의 사진이론을 적용시켜 분석합니다. 특히 현대 사진가들의 중요작품들을 살펴보고, 작가란 존재는 무엇인지? 현대예술 속에서 사진작가의 위상은 어떤 위치에 놓여있지는 지를 질문하고 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이영욱교수는 이번 강의를 총15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미셀미셀 푸코/롤랑 바르트의 작가론으로 사진작가란 무엇인가를 설명하며 로잘린드 크라우스가 말하는 작가론 등 여러철학적 사고의 관점에서 작가들을 분석합니다. 서양뿐 아니라 한, 중, 일 동아시아의 작가들에 대하여도 논합니다. 이번 강좌를 통하여 다양한 작가들의 세계를 접하여 스스로 자신의 사진세계를 넓혀 나가게 될 것입니다.
*수업 중에 별도의 인쇄물과 작가별 작품이미지 강의 자료를 배부. 매 수업시간 시청각 교육장비 빔 프로젝트 준비.
*총 15주가 이어지는 강좌이나 수강하는 분들의 편의를 생각하여 전체를 한 번에 신청받기도하지만 5주씩 나누어 수강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일시: 2014. 10. 28일 ~ 2015. 2. 10 (12월 30일 신정주간 휴강)
*시간: 매주 화요일, 7시
*장소: 사진공간 배다리
*총 15주 강좌이나 5주씩 나누어서 수강 신청할 수 있음.
*수강료 5주 12만원, 15주 35만원
*개강 : 10월 28일(화) 7:00
*인원 : 15명 내외 (선착순)
*신청 방법: 010 5400 0897 (이상봉)
uram54@hanmail.net
*구좌번호 : 국민 659401 01 402433 이상봉
<수업운영 방법>
1. 1주~7주: 사진의 역사 전체를 관통하는 주요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분석한다.
2. 8주~13주: 동시대 현대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주제의식에 따라 분석하고 최근의
현대예술사진의 흐름과 경향을 알아본다.
연구 과제 발표/토론
3. 14주~15주: 전시기획자, 비평가들이 주목하는 사진작가는?
인터뷰 자료
연구 과제 발표/토론
<강의 순서>
1주 오리엔테이션 : 작가란 무엇인가/저자의 죽음
미셀 푸코/롤랑 바르트 작가론
2주 19세기 사진작가들
3주 사진의 역사라는 표현이 가리키는 사고의 대상
로잘린드 크라우스 작가론
4주 사진과 미술사
로잘린드 크라우스 작가론
5주 사진과 형태
6주 사진의 시선 속에서
7주 개념미술속의 사진
스티브 에드워드 작가론
8주 동시대 작가들 과제연구 발표- 1
베어스쿨 작가 (독일)
9주 동시대 작가들 과제연구 발표- 2
Y.B.A 작가(영국)
10주 동시대 작가들 과제연구 발표- 3
현대 조형사진 작가(프랑스)
11주 동시대 작가들 과제연구 발표- 4
포스트 모던 대표작가(미국)
12주 동시대 작가들 과제연구 발표- 5
동아시아(한 중 일) 대표작가
13주 예술사진의 현재 모습.
14주 - 15주 전시기획자, 비평가들이 주목하는 사진작가는?
인터뷰 자료.
강사 소개:
이 영 욱 (1966년 생)
중앙대 박사과정수료 / 중국 연변대학 외국인 초빙교수로 10년 근무.
현재 중앙대학교, 상명대학교, 경성대 사진학과 학부에서 <작가론>, <예술사진프로젝트>를,상명대 일반 대학원, 예술디자인 대학원에서 <사진창작 워크숍>과 <작품연구>를 강의하고 있다. 철학 아카데미에서 <사진미학>, <현대사진 보기와 읽기>를 사진공간 배다리에서 <사진 인문학 강의>를 통해 현대 사진이론가들을 소개하고, 문화재단 작가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사진워크숍, 다수의 전시기획을 했다.
교재 및 참고서적
교재.
1. 현대예술로서의 사진, 살럿 코튼 저, 권영진 역, 시공사, 2007.
2. 사진, 인텍스, 현대미술, 로잘린드 클라우스 저, 최봉림 역, 궁리, 2004.
3. 철학으로 읽어보는 사진 예술, 이경률 저, 사진마실, 2005.
4. 현대 조형사진론, 도미니크 바케 저, 이경률 역, 2006.
5. 예술사진의 현재, 수잔 브라이트 저, 이주형 역, 월간사진, 2008.
6. 사진 찍는 것인가 만드는 것인가, 앤 셀린 제이거 저, 박태희 역, 미진사, 2008.
7. Themes in Contemporary Art, Gill Perry & Paul Wood, Yale University Press, 2004.
참고서적.
1. 발터 벤야민 선집 2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발터 벤야민 저, 최성만 역, 길, 2009.
2. 이미지와 글쓰기(롤랑 바르트 이미지론), 롤랑 바르트, 김인식 편역, 세계사, 1993.
3. 카메라 루시다(밝은 방 사진에 관한 노트), 롤랑 바르트, 김웅권, 동문선, 2006.
4. 텍스트의 즐거움, 롤랑 바르트, 김희영 역, 동문선, 1997.
5. 사진과 텍스트, 김우룡 엮음, 눈빛, 2006.
6. 사진 이론의 상상력, 이영준, 2006.
7. 현대 사진미학의 이해, 이경률, 2006.
8. 현대미술 사진과 기억, 이경률, 2007.
9. 사진적 행위, 필립 뒤봐, 이경률 역, 2005.
10. 의미의 경쟁, 리차드 볼턴 역음, 김우룡 역, 눈빛, 2001.
11. Art Since 1900년 이후의 미술사, 할 포스터 외, 배수희 외 역, 세미콜론, 2007.
12. Art Now, Uta Grosenick, Taschen, 2008.